‘신흥국發 쇼크’ 금융시장 출렁

‘신흥국發 쇼크’ 금융시장 출렁

입력 2014-01-28 00:00
업데이트 2014-01-28 09: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아르헨 페소화 가치 급락 불똥… 코스피 한때 1900선 무너져

아르헨티나의 페소화 가치 급락으로 촉발된 신흥국의 금융위기 우려가 글로벌 금융시장을 강타했다. 미국의 양적완화 추가 축소 가능성과 중국의 경기 둔화까지 겹치면서 국내 금융시장이 출렁였고, 아시아 증시도 동반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3대 악재’가 일회성이 아닌 만큼 한국이 선진국으로 동조화되기 전까지 이 같은 출렁거림은 종종 나타날 것이라고 진단했다. 정부는 금융시장 모니터링에 착수했지만, 이번 사태가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예상했다.

27일 코스피는 1.79% 하락한 1905.91로 출발해 바로 1900선이 무너졌다. 코스피가 1900선이 무너진 것은 지난해 8월 28일(1884.52) 이후 5개월 만이다. 이후 하락 폭을 줄여 나간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30.22포인트(1.56%) 내린 1910.34로 장을 마감했다. 코스닥지수도 전 거래일보다 12.80포인트(2.46%) 내린 507.51로 마쳤다. 아시아 증시도 동반 급락했다. 일본 닛케이평균주가는 지난 주말보다 385.83포인트(2.51%) 급락한 1만5005.73으로, 타이완 자취안지수는 1.58% 하락한 8462.57로 장을 마감했다.

환율도 흔들렸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3.2원 오른 달러당 1083.6원에 거래를 마쳤지만 출발은 불안했다. 5.1원 오른 1085.5원에 개장한 뒤 4분 만에 7.3원 급등한 1087.7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설을 앞둔 수출 업체들이 달러 매도에 나서면서 상승 폭이 축소됐다. 이창선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은 지난해만 해도 신흥국과 차별성을 보여 선진국 동조화 가능성이 커 보였지만 지금은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면서 “올해 한국 경제의 회복 속도와 수출이 이를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경두 기자 golders@seoul.co.kr

김진아 기자 jin@seoul.co.kr
2014-01-28 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