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집사’들을 위한 인류 속 고양이 문화사

‘고양이 집사’들을 위한 인류 속 고양이 문화사

이은주 기자
이은주 기자
입력 2017-01-13 20:36
업데이트 2017-01-13 21: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로 나는 존재하는 고양이/진중권 지음/천년의 상상/336쪽/1만 8000원

이미지 확대
진보 논객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이번엔 고양이 집사를 자처하고 나섰다. 2013년 비 오는 어느 날 반려묘 루비를 만난 뒤 일명 ‘진 집사’로 거듭난 그는 역사와 미술, 문학, 철학 등을 넘나들며 고양이 문화사를 아우른다.

루비는 그가 평소 존경하는 철학자 루트비히 요제프 요한 비트겐슈타인에서 따왔다. 루비는 이를 부르기 편하라고 줄인 것이다. 그는 “고독한 학문의 길에 루비는 유일한 친구이자 영혼의 동반자”라고 고백한다. 책은 인류가 고양이를 기르기 시작한 역사부터 파헤친다. 고대 이집트 문화에서는 존재하던 고양이가 성서에서 자취를 감춘 이유, 장화 신은 고양이에 얽힌 이야기, 고양이가 19세기 유럽 시인들의 소울 메이트가 된 사연 등을 흥미롭게 풀어낸다.

아울러 우리나라에 고양이가 전해진 경로에 대해서도 밝힌다. 국내에서는 조선시대 전기 문신 서거정의 시에서 고양이 이름이 처음 문헌에 등장했으며 광해군 때는 고양이 시체를 이용한 흑사물에 관한 기록도 있다.

또한 이익의 ‘성호사설’에서 조선 최고의 애묘가로 언급된 19대 임금 숙종이 노란 털의 고양이를 좋아해 금손(孫)이라는 이름을 지어주고 손수 수라상에 오른 고기를 먹였다는 이야기도 눈길을 끈다.

그는 이 책에서 낡은 인간중심주의를 극복하고 고양이중심주의를 확립하자고 주장한다. 인간과 동물의 차이를 인정하지 말자는 주장이 아니라 차이가 차별, 즉 동물에 대한 인간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저자는 “고양이는 동물 중에서 가장 철학적인 동물”이라면서 “이기적으로 보이나 누구보다 이타적이며, 사회 안에 살면서도 완전히 동화되지 않는 고양이성을 받아들이자”고 제안한다.

이은주 기자 erin@seoul.co.kr
2017-01-14 19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