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천 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1천 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박홍규 기자
입력 2018-02-26 17:09
업데이트 2018-02-26 18: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천미터 깊이의 심해 속으로부터 건져진 물고기. ‘유령상어(ghost shark)’란 이름으로 불리는 흉칙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1천미터 깊이의 심해 속으로부터 건져진 물고기. ‘유령상어(ghost shark)’란 이름으로 불리는 흉칙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지난 21일(현지시각) 외신 데일리메일이 소개한 외계인처럼 보이는 수 백여 종의 심해 물고기들이 화제다. 이 흉하게 생긴 물고기들은 과학자들로부터 ‘황혼의 지역’이라 불리어지는 러시아 북서쪽에 살고 있는 로만 페트로초트라는 한 어부에 의해 잡혔다.

그는 직접 잡은 엽기적인 해양 생물들을 사진으로 찍어 왔다. 온라인상 이 분야에선 이미 유명인이다. 그가 최근에 잡아 올린 ‘물고기 좀비’라는 물고기가 있다. 이 물고기의 특징은 빨간색 버그 눈을 가졌고 보기 흉한 상어 같이 생겼다. 하지만 그는 이 물고기에 대해 “어찌 생겼든 매우 유명하고 맛있는 생선입니다”라는 설명을 달았고 그의 인스타그램 28만 명의 ‘추종자들’로부터 열광적인 반응을 받았다.

1천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장어를 닮은 상어로 위 아래쪽에 무시무시한 이빨을 가지고 있는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1천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장어를 닮은 상어로 위 아래쪽에 무시무시한 이빨을 가지고 있는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1천미터 깊이의 심해 속으로부터 건져진 물고기. ‘좀비 물고기(zombie fish)’란 이름으로 불리는 흉칙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1천미터 깊이의 심해 속으로부터 건져진 물고기. ‘좀비 물고기(zombie fish)’란 이름으로 불리는 흉칙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그는 북극해로 들어가는 얕은 바다인 바렌츠 해(Barents Sea)가 속칭 그의 ‘나와바리’다. 그곳에서 그의 그물은 인구의 0.05%만 탐험해 본 심해의 신비한 생태계가 우글거리는 ‘황혼의 지역(twilight zone)’이다. 이 구역은 수심 200~1,000미터 사이의 지역인 중층 원양대(mesopelagic zone)로 인간이 거의 볼 수 없는 생물체들이 살아가는 곳이다.

그는 자신의 배에서 물고기 선별과정을 손수 처리하고 있다. 때문에 다양한 해양 생물체들을 발견할 때마다 사진을 찍어 정기적으로 올린다. 한 번 출항하면 아프리카와 대서양을 포함해 3개월 동안 전 세계를 항해한다. 그는 “모든 물고기들은 나름대로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며 “어떤 물고기도 흉하거나 괴물같이 보이진 않는다”고 말했다.

1천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늑대 물고기(wolf fish)’로 불리는 흉측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1천미터 심해 속에서 건져진 외계인 물고기’. ‘늑대 물고기(wolf fish)’로 불리는 흉측스런 모습(사진출처: 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본래 심해에서 외계인처럼 생긴 물고기들은 물표면으로 나올 때 압력의 극심한 변화로 인해 외관이 바뀔 수 있다. 수천 미터의 해저에서 살고 있는 어떤 종류의 물고기는 이 압력의 차이를 견뎌낼 수 있는 반면 또 다른 종류들은 이 압력을 견디지 못하고 신진대사의 문제를 발생하고 모양까지 변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해저에서 직접 보거나 잡을 수 없는 이런 심해 생물들이 그를 통해 세상에 알려지면서 해저 생물에 대한 관심이 더욱 늘고 있다. 아무튼 오래 살고 볼 일이다.

사진=인스타그램 rfedortsov_official_account

박홍규 기자 gophk@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