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서울TV

[그들의 시선] “눈 잃은 사람들에게 웃음을…” 행복을 선물하는 의안사

폰트 확대 폰트 축소 프린트하기

▲ 최윤신 의안사가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자신의 의안소에서 의안 제작을 하고 있다.
“눈을 잃고 슬픔에 빠진 사람들에게 웃음을 선물해 드려라.”

최윤신(41)씨가 의안 제작 기술을 배울 때 스승에게 들은 조언 중 가슴에 가장 깊이 새긴 말이다. 최씨의 스승은 50년 동안 의안을 만든 그의 아버지 최인평씨. 할아버지와 아버지에 이어 3대째 의안사 길을 걷는 최윤신씨를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한 의안소에서 만났다.

최씨는 2004년부터 의안사 길을 걸었다. 여기에는 의안사였던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영향이 컸다. 그는 “공안과 의안부 파트에서 근무하신 할아버지가 의안을 제작하셨고, 저희 아버지가 할아버지 밑에서 배우셨다. 그리고 아버지가 저에게 기술을 전수해 주시면서, 3대째 의안을 제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아버지가 운영하던 의안소를 책임지고 있는 최씨에게 의안사로 일하면서 언제 가장 보람을 느끼는지 묻자, 그는 “착용자가 웃으며 돌아갈 때”라고 답했다. 이는 “눈을 잃고 슬픔에 빠진 사람들에게 웃음을 선물하라”라고 가르친 최씨 아버지의 가르침 때문이다.

“아버지께서는 환자들에게 웃음을 드리라고 강조하셨습니다. 환자들은 장애를 가진 부분에 대해 우울함이 있을 수 있기에, 그 부분을 기술로 조금이나마 치유해 드리고 웃게 만들라고 하셨어요. 그런 아버지의 말씀을 늘 기억하면서 의안 제작에 임하고 있습니다.”

‘의안’은 병변이나 사고로 안구를 적출하거나, 선천적 또는 후천적 안구 발육 불량으로 인해 실명한 경우, 눈의 역할을 대신하는 인공 보형물을 말한다. 의안을 만드는 것은 의안사 몫이다. 최씨는 “의안 만드는 모든 과정이 중요하지만, 그중에 가장 중요한 것은 눈의 모양, 초점, 색상, 착용감”이라고 강조했다.
▲ 최윤신 의안사가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자신의 의안소에서 의안 제작을 하고 있다.
이어 그는 “초점의 경우 조금의 오차라도 있으면 눈동자가 바깥으로 향하는 외사시나 안쪽으로 몰리는 내사시처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고 말했다. 또 “착용감이 중요하다”며 “착용감이 떨어지면 이물감이나 통증까지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마무리 작업에서 신경을 많이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안 제작은 의사의 보장구처방전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이뤄진다. 의안 제작 공정은 모두 수작업으로 이뤄지고, 한 개 제작에 6시간이 소요된다. 제작비용은 80만원에서 100만원이다. 현행 국민건강보험법 ‘장애인보장구 급여비’에 따르면, 의안은 5년 한 번씩, 의안 보장 상한액 62만원(기초생활수급 대상자는 62만원 지원)의 90%인 55만8000원의 보조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하지만 현행법상 5년에 한 번 교체할 때 보조금을 지원받는 것에 대해 개선의 목소리도 있다. 최씨는 “의안 재료의 수명을 평균 3년으로 보기 때문에 저희가 추천하는 의안 사용기간은 3년 정도이다 보니 아쉬운 부분이 있다”며 “지원 기간이 조금이라도 단축되어 착용자들이 좀 더 나은 의안을 착용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 최윤신 의안사가 지난달 29일 서울 종로구에 있는 자신의 의안소에서 의안 제작을 하고 있다.
최씨에게 의안사란 어떤 직업이냐고 묻자, 그는 “실명된 눈의 미용치료사”라고 정의하며, “실명이라는 아픈 단어에 제가 가진 기술로 콤플렉스나 마음의 상처를 치료해 줄 수 있는 사람, 희망을 줄 수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의안사로 살아가는 그의 직업적 태도를 엿볼 수 있는 답변이다.

아픈 사람을 치료할 수 있는 행복을 딸에게도 전해주고 싶다는 최씨. 그는 “제가 아버지 대를 이은 것처럼 제 자녀가 저를 이어 의안사를 한다고 하면, 행복할 것 같다”며 “제가 일을 하면서 느끼는 자부심, 그리고 누군가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행복감을 제 자녀도 느꼈으면 좋겠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글 문성호 기자 sungho@seoul.co.kr

영상 박홍규, 문성호, 김형우, 임승범 gophk@seoul.co.kr
페이스북 트위터 밴드 블로그

서울신문 www.seoul.co.kr

광화문 사옥: 서울시 중구 세종대로 124 (태평로1가 25) , 강남 사옥: 서울시 서초구 양재대로2길 22-16 (우면동 782) l 대표전화 : (02) 2000-9000

인터넷서울신문에 게재된 콘텐츠의 무단 전재/복사/배포 행위는 저작권법에 저촉되며 위반 시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서울신문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