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가격·지분 모두 최대로”…우리금융 매각 ‘6년만에 본궤도’

“가격·지분 모두 최대로”…우리금융 매각 ‘6년만에 본궤도’

입력 2010-10-29 00:00
업데이트 2010-10-29 11:0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6년 넘게 끌어온 정부의 우리금융지주 매각 작업에 본궤도에 올랐다.

 정부는 30일 우리금융 매각공고를 내고 2004년 9월 지분 5% 시장 매각(블록세일)에서 출발한 우리금융 민영화를 본격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와 금융산업 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한꺼번에 잡겠다는 목표지만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인수.합병(M&A) 시장이 위축된데다 초대형 매물이어서 여건이 호락호락하지만은 않다는 우려도 있다.

 ◇정부 “최대한 높은 가격에 많은 지분 매각”

 정부가 지난 7월말 밝힌 대로 매각 대상은 우리금융 지분 56.97%와 우리금융이 보유한 경남은행과 광주은행 지분 100%씩이다.

 정부는 30일 매각공고에서 우리금융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요건인 최소입찰 규모로 ‘4% 이상 지분인수’ 조건을 제시할 가능성이 높다.

 또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은 각각 ‘50%+1주 이상 지분’을 제시하되 구체적인 요건은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는 단서를 달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11월15일께까지 투자의향서(LOI)를 제출한 인수 주체를 대상으로 좀더 구체적인 자료를 제공한 뒤 12월 초중순까지 입찰을 받아 가급적 연내에 본입찰에 참여할 최종입찰 대상자를 선정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인 입찰공고 내용은 29일 오후 공적자금관리위원회 회의에서 결정된다.

 정부는 보유중인 정부 지분을 전량 매각하는 것이 최선이지만 시장의 불투명성을 감안,최대한 많은 지분을 높은 가격에 파는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최대한 입찰 문호를 개방해 다양한 투자자를 끌어들인 후 최적의 조건을 제시하는 곳에 매각하겠다는 전략인 셈이다.

 최소입찰 규모를 지분 4% 이상으로 정한 것이 이런 의지를 반영하고 있다.

 지분 4%는 2002년 조흥은행 매각 때 제시한 조건으로,이는 당시 비금융 주력자(산업자본)의 은행지분 소유한도를 감안한 결과였다.하지만 법이 개정돼 이 요건은 현재 9% 이상으로 변경된 상태다.

 다만 현재도 산업자본이 4% 이상 지분을 취득할 경우 금융위 승인을 받고 금융자본이 경영권을 위해 지주사 지분을 4% 이상 취득할 때 금융위에 사후 보고토록 하고 있다.

 다시 말해 4% 이상 지분 매각이란 조건은 인수의사를 가진 투자자를 최대한 끌어들이도록 문호를 개방하되 아무나 참여시키는 대신 경영권을 인수할 의향까지도 고려하겠다는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만 매각 대상별 정부의 전략은 다소 달라보인다.

 우리금융은 경영권 행사 지분인 50%+1주를 경영권 프리미엄까지 얹어 팔 때 7조원 안팎으로 추정될 만큼 덩치가 커 여의치 않으면 절반인 28.5%를 마지노선으로 삼겠다는 기류가 읽힌다.경영권 프리미엄에 연연하기보다는 민영화의 취지를 살릴 수 있도록 최대한 지분을 매각하는 쪽에 방점을 찍었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반면 경남은행과 광주은행의 경우 ‘50%+1주 이상 지분’을 입찰요건으로 제시했지만 상황에 따라 이를 상향조정할 생각이다.지방은행은 경영권 프리미엄도 최대한 노리겠다는 뜻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하나.우리 ‘잰걸음’…정부 “뚜껑 열어봐야”

 매각 협상의 유리한 조건을 만들기 위해 최대한 많은 투자자를 끌어들이겠다는 정부의 생각과 달리 시장 상황은 여의치 않다는 평가가 나온다.

 일부 지분 확보 후 합병 방안을 선호하는 하나금융지주와 지배주주 없는 과점주주 컨소시엄 형태의 독자 민영화 전략을 취한 우리금융을 제외하면 아직 눈에 띄는 인수 주체를 찾긴 쉽지 않은 형국이다.

 하나금융은 최근 1대 주주인 싱가포르 국부펀드 테마섹이 보유지분을 팔고 나가면서 투자자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우려에도 불구하고 일부 해외 기관투자가들이 투자에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며 자금 확보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하나금융 관계자는 “우리금융 합병을 추진할 때 참여시켜달라고 요청한 투자자들도 있어 자금 확보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나금융은 연기금이나 해외 투자자 등을 재무적 투자자로 끌어들이거나 유상증자를 통해 정부의 우리금융 지분 57% 중 일부를 사들이고 나머지 지분을 합병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우리금융은 재무적 투자자 4~5곳이 컨소시엄을 구성해 우리금융 지분을 전량 인수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이를 위해 연기금과 공제조합,대기업,기관투자자,해외 투자자는 물론 우리은행과 거래하는 대형 법인이나 개인 거액 자산가까지 잠재적 투자자 명단에 올려놓고 투자자 모집에 나섰다.

 또 우리사주조합을 통해 1조원 안팎의 지분을 매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임직원들의 직급별로 주식 매입 규모를 정하고 자금이 필요할 경우 우리사주를 담보로 대출을 하는 방법 등이 거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방은행 중 경남은행은 대구은행,부산은행,경남상의 중심의 상공인 등이 눈독을 들이고 있다.

 반면 광주은행은 광주.전남 상공인 외에 뚜렷한 인수 의사를 피력한 주체가 눈에 띄지 않는 상황이다.

 공적자금관리위 관계자는 “조흥은행 매각 때도 인수자가 많이 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됐지만 막판에 예상치 않은 제안이 들어온 경험이 있다”며 “일단 뚜껑을 열어봐야 할 사항이지,벌써부터 있다 없다라고 속단하긴 이르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