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동빈號 글로벌 롯데 ‘辛의 남자들’ 전면으로

신동빈號 글로벌 롯데 ‘辛의 남자들’ 전면으로

입력 2011-02-12 00:00
업데이트 2011-02-12 02: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 10일 사상 최대 규모의 인사를 단행한 롯데그룹은 오늘날의 롯데와 내일의 롯데를 이끌어 갈 신·구 주역들을 골고루 포진시켰다. 창업주인 신격호 총괄회장 아래 안정적 성장을 일군 인물들과 신동빈 회장을 보필해 내수그룹 롯데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킨 ‘뉴 리더들’을 조화시켜 ‘신동빈호’의 안정적 항해를 도모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미지 확대
●이인원 부회장 정책본부장에

롯데정책본부는 국내외 주요 계열사의 사업전략 지원, 투자를 조율하는 곳으로 그룹의 ‘컨트롤타워’라 할 수 있다.

신 회장이 맡고 있던 정책본부장 자리를 처음으로 비(非)오너가인 이인원(64) 부회장에게 맡겼다는 사실은 그만큼 신임이 두텁다는 뜻이다.

이 부회장은 1973년 롯데호텔에 입사해 1987년 롯데쇼핑 이사, 1997년 롯데쇼핑 대표 등을 역임했다. 백화점에서 상품매입본부장·영업본부장 등 요직을 거쳐 2007년 정책본부로 이동하기까지 10년간 롯데쇼핑을 업계 선두로 키워낸 인물이다.

그룹 고위 관계자는 “이 부회장은 여러 직책을 통해 실력을 검증받아 왔고 3년간 부본부장으로 일하면서 훌륭한 경영 실적을 내왔기 때문에 본부장 자리에 오른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이 부회장이 신 총괄회장 아래에서 몸피를 키워온 인물이라면 신 회장과 함께 내수기업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시킨 차세대 리더들로는 황각규(57) 사장과 채정병(61) 사장이 꼽힌다. 이들의 부상으로 친정체제가 강화돼 글로벌 경영이 더욱 가속화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신회장의 황태자 황각규 사장

이 중 황 사장은 오래 전부터 신 회장의 ‘오른팔’ ‘황태자’라고 불릴 정도로 각별한 신임을 받는 인물이다. 국제실장으로 해외사업 및 신규사업을 맡고 있어 신 회장이 진두지휘하는 글로벌 경영의 핵심인재라 할 수 있다.

두 사람의 만남은 1990년 신 회장이 호남석유화학 상무로 입사하면서 시작됐다. 당시 황 사장은 호남석유화학 부장으로 있었다.

1995년 신 회장이 정책본부 전신인 기획조정실 부사장으로 옮길 때 황 사장을 데리고 와 중책을 맡겼다.

지난해 GS리테일, 말레이시아 타이탄 등 국내외 유통·석유화학 분야의 굵직한 인수·합병(M&A)을 성사시켜 신 회장의 안목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했다. 후배로 채 사장보다 2년 늦은 2008년 부사장에 오른 그가 이번 인사에서 채 사장과 나란히 사장 자리에 올라 그에 대한 기대가 얼마나 큰지를 보여줬다.

그동안 운영실장을 맡아오다 이번에 사장 승진과 함께 롯데칠성음료 대표이사가 된 이재혁(57) 사장은 기획조정실을 포함, 20여년간 정책본부에서 뼈대를 키워왔다. 이 사장을 매출 1조원대의 비교적 작은(?) 롯데칠성음료로 내려보낸 것은 기업의 모태가 된 식품·음료에 대한 롯데그룹의 애정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지난해 첫 해외법인인 필리핀 펩시를 인수한 롯데칠성이 정체된 국내 시장을 탈피해 해외에서 두각을 나타낼 수 있도록 이 사장의 역량 발휘를 기대한다고 볼 수 있다.

●롯데쇼핑 이원준 부사장 약진

롯데쇼핑 쪽에서는 백화점의 2대 핵심 부서인 상품본부와 영업본부를 번갈아 맡았던 이원준(55) 상품본부장과 이재현 영업본부장의 처지가 바뀌었다.

이원준 본부장은 부사장으로 승진한 반면 이재현 본부장은 롯데로지스틱스 대표로 자리를 옮겼다. 롯데쇼핑은 롯데그룹 유통계열의 꽃. 여기서 대표이긴 하나 규모가 작은 롯데로지스틱스로 옮겨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 가운데 ‘새옹지마’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을 낳는다.

롯데가 매물로 나온 대한통운을 품에 안는다면 회사는 물론 이 사장의 역할 또한 덩달아 커질 수 있어 대한통운 인수를 염두에 둔 이동이라는 시각도 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02-12 13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 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