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신축적 여신관리 절실” “재무구조 건전화할 때”

“신축적 여신관리 절실” “재무구조 건전화할 때”

입력 2011-04-14 00:00
업데이트 2011-04-14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들이 본 회생방안

국내 건설업체들의 자금 사정이 갈수록 악화되는 가운데 일시적인 자금 유동성 문제에 시달리는 중견 건설업체들에 하루빨리 탈출구를 마련해 줘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반면 ‘보이지 않는 손’이 지배하는 시장논리를 거스르지 않고, 자율적인 생존환경을 유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팽팽하게 맞서는 상황이다.

13일 전문가들에 따르면 건설산업의 자금 숨통을 터주기 위해 공공발주 활성화를 통한 일감 제공, 자금조달을 위한 금융권의 신축적인 여신관리, 중소 건설업체 간 활발한 인수·합병(M&A), 건설산업의 특성을 감안한 국제회계기준(IFRS) 적용 등이 해법으로 제시되고 있다.

이영진 닥터아파트 이사는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없다면 시장을 활성화시키는 게 대안”이라며 “적체된 수도권 미분양 아파트를 순차적으로 해소하는 방안을 찾으면 건설업체들의 사정도 크게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이사는 PF를 부동산 펀드나 리츠로 환매조건부 매입하는 대안도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현실적으론 주택거래 시 일시적인 양도세 감면과 분양가 상한제 폐지도 거론할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홍일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해 4분기부터 공공공사 발주가 부진한 영향이 크다.”면서 “중소업체의 경우 공공공사 의존도가 절대적이어서 체감경기가 더 크게 악화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공공공사 발주를 조기에 집행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정상화를 앞당겨 수주사업 물량을 늘리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건설업체 간 합종연횡을 통한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발적인 구조조정으로 중견·중소 업체들의 경쟁력을 키워야 한다는 것이다. 국내 건설업계는 그동안 시장 규모에 비해 지나치게 건설사 수가 많다는 지적을 받아 왔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도 “시장 탓만 하지 말고 우선 (자체적으로) 재무구조를 탄탄하게 잘 갖추는 것이 우선”이라며 “금융권 지원은 별개의 문제”라고 말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용어 클릭]

●프로젝트 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은행 등 금융기관이 사회간접자본 등 특정사업의 사업성과 장래의 현금 흐름을 보고 자금을 지원하는 금융기법. 담보를 제공하지 않는 게 원칙이지만 시공사 등이 보증을 서는 경우가 많다. 대형사업인 경우가 많아 다수의 은행이 협조융자 형태를 취한다.
2011-04-14 19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