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축銀 이름만 나와도 예금자들 창구로…

○○저축銀 이름만 나와도 예금자들 창구로…

입력 2011-06-11 00:00
업데이트 2011-06-11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심리에 무너진 금융

“금융은 심리에 의해 움직인다. 그래서 이성적으로 이해할 수 없는 방향으로 흘러가기도 한다. 저축은행 대량 예금인출(뱅크런) 사태는 예금자들의 심리를 미리 읽지 못한 정책 실패다.” 10일 프라임저축은행에서 사흘간 1000억원이 넘는 돈이 빠져 나간 것을 두고 금융권 고위 관계자가 내놓은 촌평이다.

이미지 확대




●저축銀 1분기 수신잔액 15개월만에 최저

저축은행 업계가 잇따른 예금 인출 사태로 몸살을 앓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저축은행 수신(예금) 잔액은 73조 1879억원으로 지난해 4분기보다 3조 6047억원(4.7%) 줄었다. 2009년 4분기(73조 2761억원)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저치다.

저축은행의 수신이 줄어든 주된 이유는 지난 1월 정부가 삼화저축은행에 영업정지 조치를 내린 뒤 예금인출 도미노 현상이 일어났기 때문이다. 2월 들어 몰려드는 예금 인출 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부산·대전·전주·중앙부산·부산2·보해·도민저축은행이 영업정지를 신청하면서 뱅크런은 심화됐다. 이어 검찰이 부실 저축은행 수사에 나서자 저축은행 고객의 불안 심리가 증폭됐다.

●금융위 모호한 태도 불안심리 자극

이제는 새로운 저축은행 이름만 나와도 예금자들이 앞다퉈 창구로 달려가는 모양새다. 제일저축은행도 마찬가지다. 지난달 초 검찰이 뇌물을 받고 불법 대출을 해준 이 은행 직원을 수사한다는 소식이 나오자 4일 동안 3645억원의 예금이 빠져나갔다. 금융감독원이 “제일저축은행은 영업정지 가능성이 낮은 곳”이라고 밝히고 검찰도 “개인비리에 대한 수사”라고 선을 그었지만 예금자들의 동요를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문제는 이처럼 재무 상태가 건전한 저축은행에 뱅크런 불똥이 튀는 것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예금을 넣어둔 금융회사가 망한다는 비이성적인 공포 때문에 회사가 실제 파산에 이르는 자기실현적 예상(self-fulfilling expectations)이 저축은행 업계에 퍼져 있다.”고 설명했다.

●“구조조정 속전속결로 신뢰 회복하라”

금융위원회의 모호한 태도가 불안심리를 자극했다는 비판도 있다. 김석동 위원장은 “상반기에 저축은행에 대한 추가 영업정지는 없다.”는 발언을 수차례 했다. 이는 바꿔 말하면 “하반기에 쓰러질 저축은행이 있다.”는 뜻으로 해석돼 시장의 불안 심리를 부추겼다. 당국은 지금도 “하반기 저축은행 구조조정은 없다. 상시적인 구조조정만 있을 뿐”이라는 애매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저축은행 구조조정을 속전속결로 진행해 부실을 털고 시장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만이 뱅크런의 유일한 해법이라고 지적했다. 김상조 한성대 무역학과 교수는 금융학회 정책심포지엄에서 “감독당국이 금융위기 때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심화하는 와중에도 근본적인 구조조정보다 합병 등의 임시방편에 의존해 업계 부실을 키웠다.”면서 “저축은행 부실을 조속히 해소하려면 공적자금을 적기에 충분히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오달란기자 dallan@seoul.co.kr
2011-06-11 1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