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MRO사업 손 못떼는 LG, 왜

MRO사업 손 못떼는 LG, 왜

입력 2011-10-31 00:00
업데이트 2011-10-31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삼성·IMK·한화 S&C 등은 시장 속속 철수하는데…

올해 대·중소기업 동반성장이 재계의 화두로 떠오르면서 관심을 끌고 있는 기업소모성자재 구매대행(MRO) 사업. ‘순대와 면장갑도 대기업이 파냐.’는 비판에 직면하면서 삼성그룹 등은 MRO 업체를 매각하거나 사회적기업으로 육성하는 등 대안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MRO 업계에 남아 있는 다른 대기업 계열 업체들은 사업 범위를 놓고 중소기업들과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쉽사리 해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미지 확대


3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현재 대기업들과 중소기업들은 대기업 MRO 업체들의 영업 범위를 두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 지난 27일까지 4차례에 걸친 조정회의를 가졌지만 양측은 여전히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모그룹 계열사를 제외하고 거래할 수 있는 다른 기업의 규모에 대해 이견이 있기 때문이다.

중소업계는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기업만을 대기업으로, 대형 MRO 업체들은 중견기업도 대기업으로 봐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에서는 이번 협상을 중재한 동반성장위의 강제조정안에 따라 사업 범위 등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MRO 업계 1위인 서브원을 계열사로 보유하고 있는 LG그룹 관계자는 “거래가능 기업의 규모를 연매출 3000억원 이상으로 할 것인지 등에 대한 이견이 남아 있다.”면서 “협상을 통해 최대한 결론을 도출할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에서 MRO 시장, 특히 서브원의 미래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는 것은 서브원이 업계 1위라는 상징성과 함께 다른 대기업들은 MRO 업계에서 사실상 손을 떼고 있기 때문이다.

삼성은 MRO 계열사인 아이마켓코리아(IMK)를 인터파크에 매각하기로 결정했고, 한화그룹은 이미 9월에 시장에서 철수했다. 포스코는 엔투비를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모델로 삼아 영업이익 0%에 도전하겠다고 밝혔다. SK그룹 역시 계열사인 MRO코리아를 사회적기업으로 전환하겠다는 뜻을 천명했다. 반면 LG는 “사회적 합의가 도출되면 그에 따르겠다.”는 원론적인 입장만 반복하고 있다.

서브원이 MRO 사업을 포기하지 못하는 나름의 이유도 있다. 서브원의 지난해 전체 매출은 3조 8477억원, MRO 부문 매출은 2조 5269억원에 달한다. MRO 부문만 따져도 2위인 삼성 IMK 매출의 두배에 육박한다. 수익도 놓칠 수 없지만 하루아침에 정리하기에는 상당한 규모다.

서브원의 비계열사를 대상으로 한 사업 규모도 전체 매출의 30% 정도를 차지한다. LG 관계자는 “비계열사 부문 매출을 포기하라는 것은 유휴 인력 양산에 따른 부담과 관련 시스템 구축에 따른 투자비 손실에 따라 사실상 사업을 접으라는 뜻”이라고 말했다.

LG로서는 삼성 등처럼 서브원 전체를 매각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다. 서브원은 사실상 LG의 ‘사내 건설사’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올해 상반기 서브원의 건설사업 매출액은 583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7%나 증가했다. 서브원은 상반기 7293억원 규모의 LG디스플레이 파주공장 9라인 건설을 수주한 데 이어 최근 LG 여의도 트윈타워 리모델링 공사를 계약했다.

더구나 업계에서는 구본무 LG 회장이 서브원의 공동대표이사라는 점도 주목하고 있다. ㈜LG 역시 지난해 서브원의 100% 모회사 자격으로 325억원의 배당을 받았다.

한 업계 관계자는 “그룹 내에서 서브원이 건설 등 중요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LG가 서브원을 매각할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10-31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