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3월 취업자 작년대비 64.9만명↑…고용증가 소폭둔화

3월 취업자 작년대비 64.9만명↑…고용증가 소폭둔화

입력 2014-04-09 00:00
업데이트 2014-04-09 09: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용률 59.4% 청년실업률 9.9%…”기저효과 사라진 것…회복세 유지”

3월 취업자 수 증가폭이 60만명대로 다소 둔화했다.

9일 통계청이 발표한 ‘3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취업자는 2천516만3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64만9천명 증가했다.

1월 취업자수 증가폭이 70만5천명, 2월에 83만5천명에 달한 것을 감안하면 증가폭이 다소 둔화됐지만 기본적으로 60만명대는 고용시장 회복세가 이어지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난해 평균 취업자 수 증가폭은 38만6천명을 기록한 바 있다.

3월 실업률은 3.9%로 작년 같은 달보다 0.4%포인트 상승했다. 실업자 수는 102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14만1천명(16.0%) 증가했다. 이중 청년층(15∼29세) 실업률은 9.9%로 작년 같은 달보다 1.3%포인트 올라갔다.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 비율로 본 고용률은 59.4%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상승했다. 남자는 70.6%, 여자는 48.7%로 전년 동월대비 각각 0.7%포인트와 1.3%포인트 높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도 64.5%로 전년 동월대비 1.1%포인트 상승했다.

통계청 공미숙 고용통계과장은 “2월의 경우 1년전 기저효과 때문에 특이하게 많이 늘었던 것”이라면서 “3월에는 이런 기저효과가 사라지면서 취업자수 증가폭도 다소 둔화했지만 전반적인 회복세는 이어지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취업자 수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20대가 작년 3월보다 4만1천명 늘어 일곱달째 증가세를 이었다. 50대는 29만2천명, 60세 이상은 21만5천명, 40대는 9만 7천명 각각 증가했고, 30대 취업자는 2만4천명 줄었다.

산업별로는 도매 및 소매업(17만명, 4.8%), 숙박 및 음식점업(16만6천명, 8.8%), 제조업(14만3천명, 3.5%) 등에서 늘었고 농림어업(-4만1천명, -3.0%),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서비스업(-2만8천명, -2.3%) 등에서는 줄었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임금근로자는 1천839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65만4천명(3.7%) 늘었다. 상용근로자가 52만4천명(4.5%), 임시근로자가 15만7천명(3.3%) 각각 늘어난 것이 영향을 미쳤다.

자영업자는 전년 동월대비 1만8천명(-0.3%) 줄어드는 등 2개월째 감소세를 나타냈다. 무급가족종사자는 1만3천명(1.1%) 늘어났지만 비임금근로자 전체는 676만6천명으로 5천명(-0.1%) 줄었다.

취업시간대별로는 36시간 이상 취업자가 2천127만명으로 42만2천명(2.0%) 증가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도 354만5천명으로 19만명(5.7%) 늘었다. 주당 평균 취업시간은 44.1시간으로 전년동월대비 0.3시간 늘었다.

3월 실업자는 모두 102만4천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14만1천명(16.0%) 늘었다. 15∼19세 계층을 제외한 모든 연령계층에서 실업자가 늘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19만1천명으로 1년 전보다 37만2천명(-2.2%) 줄었다.

활동상태별 비경제활동인구의 전년 동월대비 증감을 보면 연로(9만6천명, 5.2%), 심신장애(1만1천명, 2.9%)에서 늘었고 가사(-20만2천명, -3.3%), 쉬었음(-17만4천명, -11.0%), 재학·수강 등(-6만1천명, -1.4%) 등에서는 감소했다.

취업준비자는 60만2천명으로 전년 동월대비 4만6천명(-7.1%)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141만7천명으로 1년 전보다 17만4천명 줄었고, 구직단념자는 33만4천명으로 15만8천명 늘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