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중은행 여전한 금리장사 ‘얌체짓’

시중은행 여전한 금리장사 ‘얌체짓’

입력 2014-08-25 00:00
업데이트 2014-08-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기준금리 내리자 예금금리 ‘LTE급 왕창’ 대출금리는 ‘만만디 찔끔’

기준금리가 1년여 만에 인하되자 은행들의 얌체 행각이 다시 도졌다.

예금 금리는 잽싸게 큰 폭으로 내리고, 대출 금리는 천천히 찔끔 내리고 있는 것이다. 기준금리 인하 후 시장 금리가 되레 올랐던 지난해 5월과 지금 상황이 비슷하다는 점을 들어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지난 14일 기준금리를 연 2.5%에서 2.25%로 0.25% 포인트 내렸다.

은행들은 이를 예상하고 예·적금 금리를 한발 앞서 내렸다. 국민은행은 한은 결정이 나오기 바로 전날인 13일 국민수퍼정기예금 금리를 2.29%로 0.25% 포인트 내렸다. 우리은행도 같은날 파트너정기예금 금리를 0.2% 포인트 내렸다.

두 은행은 이르면 이달 말이나 다음달 초에 예금 금리를 한 차례 더 내릴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기준금리 인하 폭보다 예금 금리 인하 폭이 더 커지게 된다.

이미 예금 금리를 더 많이 내린 곳도 있다. 씨티은행은 원더풀라이프적금 금리를 연 1.9%로 0.4% 포인트 내렸다. 예금보다 이자가 더 높은 적금 상품의 기본금리가 1%대로 떨어진 것은 이 상품이 최초다.

스탠다드차타드(SC)은행도 간판 상품인 마이심플통장과 두드림통장의 금리를 각각 0.4% 포인트, 0.3% 포인트 낮췄다. 농협은행도 큰만족실세예금의 금리를 연 2.05%로 0.35% 포인트 내렸다. 이 틈을 타 고객 혜택과 우대금리를 덩달아 줄인 은행도 있다.

신한은행은 일부 고객의 이체수수료 면제 횟수를 월 30회에서 10회로 줄여버렸다. 기업은행은 IBK9988나눔통장의 우대금리를 각각 축소했다.

이에 비해 대부분 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0.02~0.09% 포인트만 떨어졌다. 은행권은 “가계대출 변동금리의 기준이 되는 코픽스가 0.09% 포인트 하락에 그쳤기 때문”이라면서 “코픽스는 한 달 시차를 두고 매달 15일 집계되는 탓에 기준금리 인하분은 다음달에나 반영될 것”이라고 해명했다.

기준금리 인하를 즉각 반영하라던 금융감독원의 ‘엄포’가 먹혀들지 않고 있다는 방증이다.

코픽스가 사상 최저(7월 2.48%) 수준으로 떨어졌는데도 고객들이 대출 금리 인하를 체감하지 못하는 또 하나의 이유는 혼합형(고정금리+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에 있다.

은행들은 금융 당국의 지도로 혼합형 대출을 크게 늘렸다. 이 상품은 처음 3~5년은 고정금리를 적용받다가 변동금리로 전환된다. 고정금리는 국고채나 금융채 등에 연동되는데 이들 장기 채권 금리는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되레 올랐다.

국고채 3년물 금리는 지난 13일 연 2.51%에서 22일 2.58%로 상승했다. 기준금리 인하분이 선(先)반영됐고 추가 인하 기대감은 약해서다.

‘데자뷔 우려’마저 나온다. 기준금리가 인하됐던 2012년 10월과 2013년 5월에도 채권 금리는 거꾸로 올랐다.

조영무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이 여파로 당시 코픽스는 각각 0.09% 포인트, 0.11% 포인트 떨어지는데 그쳤다”면서 “이번에도 비슷한 양상이 전개되고 있어 대출 금리의 추가 하락 폭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는 ‘가계의 대출이자 부담 경감→소비 여력 진작’이라는 기준금리 인하 기대효과가 어그러질 수도 있다는 의미다.

일각에서는 코픽스에 예금 금리도 반영되는 만큼 큰 폭의 예금 금리 인하로 코픽스도 떨어질 것으로 기대하는 시선도 있다.

안미현 기자 hyun@seoul.co.kr
2014-08-25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