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병 환자 증가세…영유아 환자 작년의 갑절

눈병 환자 증가세…영유아 환자 작년의 갑절

입력 2015-08-15 09:39
업데이트 2015-08-15 09: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흔히 눈병으로 불리는 유행성각결막염 환자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6세 이하 미취학 아동 환자가 많아 주의가 요망된다.

15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32번째 주인 지난 2~8일 유행성각결막염의 인구 1천명당 외래환자수는 24.2명으로, 전주(31번째 주·7월26일~8월1일)의 21.7명보다 2.5명 늘었다.

작년 같은 기간(32번째 주·8월3~9일)의 18.9명에 비해서는 환자수가 28.0% 증가했다.

질병관리본부는 83곳의 안과 개원의원을 통해 감염병 환자수를 집계하는 표본감시 시스템을 가동 중이다.

환자수 증가는 0~6세의 영유아 연령대에서 특히 컸다. 이 연령대 인구 1천명당 외래환자수는 올해 32번째 주 79.1명으로 전주의 58.4명보다 35.4%나 늘었다. 작년 동기 37.1명보다는 2.1배나 많다.

지난주 7~19세 어린이·청소년의 인구 1천명당 외래환자수는 30.6명으로 전주 31.6명보다 1명 줄었지만, 작년 동기의 24.3명보다는 25.9% 많았다.

유행성각결막염 환자수는 통상 8월말~9월초까지 증가하므로 개인위생에 특히 신경써야 한다.

예방을 위해서는 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등 단체 생활시설에서 손 씻기 등 개인위생 수칙을 지켜야 한다. 비누를 사용해 흐르는 수돗물에 손을 철저히 씻고, 눈을 만지거나 비벼서는 안된다. 또 수건이나 베개, 담요,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 등을 다른 사람과 함께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