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백화점·마트 추석대목 성적표…”선전했다”

백화점·마트 추석대목 성적표…”선전했다”

입력 2015-09-29 14:48
업데이트 2015-09-29 14: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화점·마트가 지난달 중순께 ‘선물 예약 판매’에 들어간 이후 한달 열흘여만에 ‘추석 대목’ 장사를 모두 마쳤다.

놀랄만한 실적은 아니지만 전반적 소비 침체 속에서 선전했다는 게 유통업계의 평가다.

◇ 추석선물 매출 백화점 10%, 마트 2~3% 증가

29일 롯데백화점에 따르면 지난달 17일부터 이달 25일까지 추석 선물세트 매출(예약판매 포함)은 지난해 같은 기간(추석 기점)보다 11.8% 늘었다.

품목별로는 청과(23.2%), 건강식품(22.9%)의 증가율이 높았고, 주류(17.3%)·한우(11.9%) 등도 10%를 넘어섰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지난해 추석 선물 매출 증가율(전년대비 15%)보다는 낮지만 올해 메르스 사태나 장기 소비침체 등 때문에 추석을 앞두고 크게 우려했던 것을 감안하면 괜찮은 실적”이라고 자평했다.

신세계의 경우 추석 선물 매출(예약판매 포함·8월 18일~9월 22일) 증가율(작년동기대비)이 8.3%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추석 선물 매출 증가율(11%)을 다소 밑도는 수준이다.

품목별 증가율은 ▲ 축산(한우 등) 10.8% ▲ 수산(굴비·갈치 등) 2.9% ▲ 청과 7.2% 등이었다.

갤러리아백화점의 추석 선물 매출(예약판매 포함·8월 21일~9월 26일)도 11% 늘었다. 공산품이 36% 뛰었고, 수입식품 포함 델리류(간식·디저트 등)·와인·건식품·생선 등도 12~18% 증가했다.

수입식품·델리류·건강식품의 매출 비중이 전체 선물세트 가운데 25%로 가장 컸고 정육(24%), 건식품(12%) 등이 뒤를 이었다.

대형 마트의 추석 매출 증가율은 2~3% 수준으로 백화점에 크게 못 미쳤지만 분기 매출이 정체 또는 감소하는 추이에 비춰 “나쁘지 않았다”는 반응이다.

예를 들어 이마트의 올해 추석 선물세트(예약판매 포함·8월 17일~9월 26일) 매출은 작년 같은 기간(추석 기점)보다 3.4% 많았다. 특히 랍스터·전복(32%), 통조림(12%) 등이 인기를 끌었다.

◇ 불황 속 ‘실속형’ 선물 인기

특히 올해 추석 선물세트 소비의 특징 중 하나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실속형 선물이 크게 늘었다는 점이다.

남기대 롯데백화점 식품부문장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영향으로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올해 추석에는 건강식품 선물의 인기가 두드러졌다”며 “가격대별로는 10만원대 한우, 7만~8만원대 과일, 5만~7만원대 비타민 등 실속형이 많이 팔렸다”고 설명했다.

신세계 관계자도 “선물세트 판매 건수 기준으로는 증가율이 더 높은데 축산·수산·청과·건강 등 모든 품목군에서 가격이 상대적으로 싼 실속 선물이 작년보다 42% 정도 늘었기 때문에 매출 증가율은 지난해에 다소 못 미쳤다”고 전했다.

갤러리아백화점이 추석 선물세트 매출 실적을 가격대별로 분석한 결과, 30만원 이상의 고가 선물의 비중은 12% 정도인데 비해 10만원 미만 저가 상품은 무려 49%에 이르렀다.

더구나 작년 추석과 비교해 10만원 미만, 10만~20만원 가격대 선물의 매출은 각각 10%, 14% 늘어 전체 매출 성장을 이끌었다. 특히 1~2인 가구를 겨냥한 ‘작은 선물(스몰 기프트) 세트’ 매출은 무려 5배로 뛰었다.

임희철 갤러리아백화점 F&B(식품·음료)상품팀 바이어는 “합리적 구매 경향을 반영해 1~2인 가구를 위한 소용량·소포장 상품을 늘리고 저가 상품군에 버섯류·고추장·한우 등 품목을 추가했는데 효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에서도 양말 등 중저가 상품이 주로 포함된 패션·잡화(작년동기대비 16.3%↑), 가공식품군(8.5%), 건강·미용 상품군(6.5%) 등이 호조를 보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