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1조달러 트럼프 인프라 시장, 은행·기업 합동 공략해야

1조달러 트럼프 인프라 시장, 은행·기업 합동 공략해야

입력 2017-01-15 11:17
업데이트 2017-01-15 1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코트라 보고서 “틈새시장·현지화 전략도 효과적”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열리게 될 미국의 1조 달러 규모 공공인프라 시장에 진출하려면 은행, 건설사, 기업이 모두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공략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코트라(KOTRA)는 트럼프 당선인 취임을 닷새 앞두고 15일 발간한 ‘트럼프 시대의 미국 공공인프라 시장’ 보고서에서 “트럼프 당선인은 임기 초반 가시적 상과를 내기 위해 인프라 정책에 집중할 가능성이 크다”며 “그러려면 2025년까지 3조3천억 달러가 필요한데 최소 1조4천억 달러가 부족한 형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정부의 재정 부담을 줄이기 위해 민관 협력 형태로 개발을 진행하게 되고 그만큼 우리 기업의 미국 인프라 시장 진출 가능성도 열리는 것이다.

문제는 우리 건설사의 해외건설 수주 금액 중 북미 시장은 4.5%에 불과하고 기술 경쟁력 또한 취약하다는 점이다.

또 미국에서 연방예산을 투입하는 인프라 사업에 미국산 사용 비율을 현행 60%보다 높이려는 입법이 추진되는 등 ‘바이 아메리카’(Buy America) 규정을 강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어 해외 기업의 참여에는 장애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에서 우리 기업이 미국 인프라 시장을 파고들려면 국책은행, 건설사, 제조·서비스·정보통신(IT) 기업이 동시에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전체적인 가치사슬을 공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국책은행은 재원이 부족한 미국 내 상황을 고려해 미국 인프라 시설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우리 기업의 기자재 공급, 설비건설 참여 등을 요청할 수 있다.

그러는 사이 건설사는 현지 건설사와 제휴를 맺거나 전략적 인수합병(M&A)을 통해 주(州)·지방정부 프로젝트부터 실적을 쌓으면서 미국 시장에서 신뢰도를 높인다면 대형 프로젝트에도 참여할 길이 열릴 수 있다.

대규모 인프라 건설은 미국 내 철강, 기계, 기자재 수요를 확대한다.

특히 수송기계·부품, 중장비, 건설소재, 전선·케이블 등 관련 제품의 수요가 늘 것으로 보인다.

보호무역주의 성향이 강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속에서 이런 기회를 잡으려면 생산시설을 미국으로 이전하거나 현지기업과 생산 공정 협력을 강화하는 등 현지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보고서는 “현행법상 바이 아메리카 규정이 적용되지 않는 설계·시공·유지보수 등 건설서비스 부문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거나, 주차장 현대화, 고속도로 휴게소, 스포츠·유락 시설, 정부청사 건설 등 특화된 틈새시장을 공략하면서 향후 계속 확대되는 유지·보수 시장을 노리는 것도 고려해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