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저금리에 시장도 불안’…단기부동자금 1천조원 돌파

‘저금리에 시장도 불안’…단기부동자금 1천조원 돌파

입력 2017-02-12 14:14
업데이트 2017-02-12 14: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저금리 장기화로 단기성 금융상품에만 돈 몰려

높은 수익률을 좇아 언제라도 이동할 수 있는 시중 단기 부동자금의 규모가 급격히 늘어 사상 처음으로 1천조원을 돌파했다.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하고 금융시장의 불안감도 커지면서 마땅한 투자대상을 찾지 못한 시중 자금이 단기성 금융상품에만 몰린 탓이다.

12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12월 말 현재 단기 부동자금은 1천10조3천억원으로 집계돼 한 달 전보다 21조8천억원 늘면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단기 부동자금이 1천조원을 넘어선 것은 처음이다.

1년 전인 2015년 말 931조3천억원과 비교하면 79조원이나 늘었다.

작년 말 현재 시중에 풀린 통화량(M2·광의통화)이 2천407조원임을 감안하면 시중 자금의 약 42%가 현금이나 단기성 금융상품의 형태로 떠도는 셈이다.

단기 부동자금은 2008년 말 539조6천억원에서 이듬해 646조7천억원으로 급증했고 2013년 말 712조9천억원, 2014년 말 794조8천억원 등으로 전반적인 증가세를 보여왔다.

특히 2015년엔 1년 새 137조원이나 급증했고 증가율이 17.2%에 달하는 등 증가속도가 빨라졌다.

단기 부동자금 1천조원을 항목별로 보면 우선 현금이 86조8천억원으로 80조원 선을 넘었고 요구불예금은 210조9천억원으로 집계됐다.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은 497조8천억원, 머니마켓펀드(MMF) 61조3천억원, 양도성예금증서(CD) 21조1천억원, 종합자산관리계좌(CMA) 45조7천억원, 환매조건부채권(RP) 4조7천억원 등이다.

MMF 등의 잔액은 금융사 간 거래인 예금취급기관 보유분과 중앙정부, 비거주자의 보유분을 빼고 집계한 것이다.

여기에 6개월 미만 정기예금의 잔액 60조2천억원과 증권사의 투자자예탁금 21조8천억원을 합쳐 단기 부동자금 규모를 산출했다.

단기 부동자금은 만기가 짧거나 인출이 가능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높은 수익률을 좇아 다른 금융상품이나 투자처로 옮겨갈 수 있는 자금이다.

이렇게 단기 부동자금이 급증한 것은 무엇보다 장기 저금리 때문에 금융상품에 투자해도 만족할 만한 수익을 내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다.

실제 작년 12월 현재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는 연 1.56%(신규취급액·가중평균 기준)에 불과했고 신용협동조합, 상호금융, 새마을금고도 모두 1%대에 머물렀다.

최근엔 미국의 금리 인상에 따라 국내 금융시장에서도 금리가 상승세로 돌아섰지만 대출금리만 가파르게 오를 뿐 예금금리는 바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수준이다.

더구나 작년엔 브렉시트(영국의 유럽연합 탈퇴)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상 등 대형 변수가 속출해 금융시장의 불안감이 증폭된 점도 시중 자금의 단기 부동화를 부추겼다.

가계의 부채는 크게 늘어난 반면 소득이 정체돼 가계가 노후 준비를 위한 중장기 투자에 나서지 못하는 점도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처럼 단기 부동화 추세가 심해지면 시중에 자금이 풀려도 기업의 생산, 투자나 가계의 소비가 늘지 않는 이른바 ‘유동성 함정’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경기부양을 위한 통화정책의 효과도 제약될 수밖에 없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