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남자 앞치맛바람 뚫은 여성 호텔셰프 무기는

남자 앞치맛바람 뚫은 여성 호텔셰프 무기는

김희리 기자
김희리 기자
입력 2017-04-10 22:36
업데이트 2017-04-10 23: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유리천장 깬 동갑내기 3인방

선망의 직종이 된 셰프의 화려한 모습 뒤에는 숨이 턱턱 막히는 조리실의 뜨거운 열기와 눈물이 쏙 빠지는 엄혹한 군기를 모두 견뎌 낸 인고의 시간이 숨어 있다. 그래서일까. 오랜 시간 셰프는 대표적인 ‘남초’(男超) 직군으로 알려져 왔다. 하지만 이런 선입견을 극복하고 당당히 현장을 이끌고 있는 국내 주요 프리미엄 호텔의 여성 총괄셰프 3인방을 만나 봤다.
“여자는 약해서 이 일에 부적합하다는 편견을 깨는 게 가장 힘들었어요. 100%의 인정을 받기 위해 여성은 120% 노력해야 하는 게 억울하기도 했지만 제 선배들이 그랬듯 이 길을 걸을 후배들을 위해서라도 이를 악물고 버텼지요.”

하진옥(47) 해비치호텔 ‘하노루’ 총괄셰프, 이선희(47) 워커힐호텔 ‘수펙스’ 김치 총괄셰프, 나은선(47) 인터컨티넨탈서울 ‘아시안라이브’ 총괄셰프 세 사람은 약속이라도 한 듯 같은 이야기로 운을 뗐다.

1970년생 동갑내기인 세 사람은 모두 자신만의 독특한 주력 분야가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지난 1월 제주 해비치호텔의 제주 파인다이닝(고급 정찬 식당) 하노루를 맡게 된 하진옥 셰프는 제주에서 나고 자란 토박이다. 어릴 때부터 먹어 가장 잘 알고 있는 제주 토속 음식을 고급스럽게 구현해 해비치호텔만의 명물로 만들었다.

국내 호텔 중 유일하게 자체 브랜드와 생산 시설까지 갖추고 김치를 개발·판매하는 워커힐호텔의 이선희 셰프도 1997년부터 20년 동안 김치 조리팀에서만 일한 경력을 바탕으로 ‘국민음식’ 김치를 고급스럽게 재해석해 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인터컨티넨탈서울의 나은선 셰프도 한·중·일식을 모두 섭렵한 장기를 발휘해 최근 리뉴얼해 재개장한 아시아 퓨전 레스토랑 아시안라이브를 2011년부터 이끌고 있다.

확실한 주특기가 있지만 여성으로서 셰프의 길을 걷는 게 쉽지만은 않았다. 이 셰프는 “1996년에 아기를 낳았는데 당시로서는 파격적이게도 사내에서 최초로 출산휴가를 받아 냈지만 아이가 생후 100일 남짓 됐을 때 복귀했다”고 말했다. 곧바로 김치팀에 투입된 이 셰프는 저장음식인 김치의 특성상 냉동고를 드나드는 일이 많았던 터라 이제 막 출산한 몸으로 찬바람을 쐬며 일해야 했다. 이 셰프는 “죽을 것 같으면 그만두자는 생각으로 품에 사직서를 품은 채 퉁퉁 부은 몸을 끌고 일했었다”고 털어놨다.

나 셰프는 “조리업계에서는 화기를 사용하는 분야인 ‘불판’에 다녀와야 실력이 큰다고 하는데, 불 앞에서 무거운 식기를 다뤄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 여성 셰프들은 불판 경험을 안 시켜 주는 경우가 다반사”라면서 “다른 레스토랑의 제 또래 여성 셰프가 며칠 전에 ‘이제야 드디어 불판에 다녀왔다’고 전화로 자랑했을 정도”라고 말했다.

운이 좋게도 나 셰프가 스태프로 근무하던 당시 조리장이 편견 없이 믿어 준 덕분에 예외없이 ‘불판’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불판을 맡아서도 처음에는 무거운 프라이팬을 들 수조차 없었던 터라 매일 아령 운동을 하며 버텼다. 나 셰프는 “믿고 기회를 주는 선배들이 없었다면 여전히 여성 셰프에 대한 선입견이 유지되고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다행히 곳곳에서 활약하는 여성 셰프들이 늘면서 최근에는 조리업계에도 여성 인력이 부쩍 증가했다. 그러나 여전히 양식은 여성에게 버겁다는 인식 때문에 한식 등 일부 분야에만 몰려 있다는 점은 뛰어넘어야 할 또 다른 과제다. 하 셰프는 “힘이 들 때면 ‘내가 잘해야 다음 여성 셰프들이 같은 고생을 안 한다’는 생각으로 마음을 다잡았다”면서 “능력 있는 후배들이 꿈을 접지 않도록 길을 다지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다.

김희리 기자 hitit@seoul.co.kr
2017-04-11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