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한국 2067년 65세 이상이 46.5%… 생산인구 부양 부담 5배로

한국 2067년 65세 이상이 46.5%… 생산인구 부양 부담 5배로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9-09-03 02:30
업데이트 2019-09-03 0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0명이 노인 올 20명→102명 부양해야

총인구 2028년 5194만명 정점 찍고 감소
고령인구 비율 2045년 37%… 일본 추월
남북 통일되면 고령화 현상은 다소 완화
2067년 생산인구 51.4%… 6.0%P 개선
이미지 확대
한국이 2067년 극심한 고령화·저출산 현상으로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인구 비중이 전체의 절반 이하로 떨어지는 동시에 고령 인구는 절반 수준으로 치솟는다. 이에 따라 1명의 생산연령인구가 1명의 노인을 부양해야 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노인 국가’가 될 전망이다. 한국의 전체 인구 역시 2028년 5194만명을 정점으로 하락하기 시작해 2067년에는 3900만명대로 쪼그라든다.

●이대로 가면 2045년 고령인구 비중 세계 1위

통계청이 2일 발표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는 올해 5171만명에서 2028년 5194만명까지 늘어난 뒤 하락세로 반전해 2067년에는 3929만명으로 축소된다.

이는 한국의 2015~2018년 합계출산율이 평균 1.11명으로 전 세계 201개국 중 최하위를 기록하고 있기 때문이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한 명이 가임기간(15~49세)에 낳을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출생아 수를 말한다.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세계 평균인 2.47명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그 결과 한국의 65세 이상 고령 인구 비중은 올해 14.9%에서 2045년 37.0%로 일본(36.7%)을 넘어선 뒤, 2067년에는 46.5%까지 커진다. 반면 세계 인구에서 고령 인구 평균 비중은 올해 9.1%에서 2067년 18.6%까지 늘어나는 데 그친다.

통계청 관계자는 “현재 고령화 속도가 세계 최고 수준이라 2045년에는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서 고령 인구 비중이 가장 높은 국가가 된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의 15~64세 생산연령인구는 올해 72.7%에서 2067년 45.4%까지 떨어진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의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할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올해 20.4명에서 2067년 102.4명으로 5배 급증한다. 같은 기간 전 세계 노년 부양비가 14.0명에서 30.2명으로 증가하는 것을 감안하면 한국의 부양비 증가 속도가 5배 정도 빠른 셈이다. 고령 인구에 유소년 인구 부양까지 합친 총부양비는 현재 37.6명에서 2067년 120.2명으로 3배 이상 늘어난다. 고령화로 인해 미래 세대가 짊어져야 하는 복지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질 것이라는 뜻이다.

다만 남북 통일이 됐을 때 급속한 고령화 현상이 완화된다. 북한의 합계출산율이 2015~2020년 1.91명으로 한국(1.11명)보다 크게 높기 때문이다. 현재 7700만명 정도인 남북한 총인구는 2067년 6500만명으로 줄지만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51.4%로 한국 단독일 때보다 6.0% 포인트 개선된다. 고령 인구 구성비 역시 2067년 37.5로 한국 단독일 때보다 9.0% 포인트 낮다.

●2067년 인도 인구 16억 … 中은 12억으로 줄어

올해 전 세계에서 인구가 가장 많은 나라는 중국(14억 3000만명)으로 세계 인구(77억 1300만명)의 18.6%에 달했다. 반면 2067년에는 인도(16억 4000만명)가 중국(12억 8000만명)을 앞지를 것으로 전망된다. 2067년 세계 인구는 103억 8000만명에 이를 것으로 나타났다.

이두걸 기자 douzirl@seoul.co.kr
2019-09-03 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