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치킨집 창업 만만찮네…프랜차이즈 업종서 매출 가장 적어

치킨집 창업 만만찮네…프랜차이즈 업종서 매출 가장 적어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19-12-27 14:28
업데이트 2019-12-27 14: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지난해 프랜차이즈 가맹점 매출액의 절반 이상은 편의점·한식·치킨 업종에서 나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치킨 가게의 매출액이 프랜차이즈 업종 가운데 가장 적은 것으로 조사돼 은퇴한 직장인들의 치킨집 창업을 둘러싸고 치열한 경쟁이 이뤄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통계청이 27일 발표한 ‘2018년 프랜차이즈(가맹점)조사 잠정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가맹점 매출액은 67조 1540억원으로 2017년보다 3조 7240억원(5.9%) 증가했다. 편의점(21조 1000억원)과 한식(8조 7000억원), 치킨(4조 2000억원) 등 3개 업종이 전체 매출액의 50.7%를 차지했다.

가맹점 매출액은 의약품과 제과점, 문구점에서 각각 전년 대비 0.1%(24억 7500만원), 3.1%(987억 4100만원), 1.4%(101억 6500만원) 감소했다.

하지만 가맹점당 매출액을 따져보면 주요 12개 업종 가운데 연간 매출액이 가장 적은 업종은 치킨(1억 6910만원)으로 조사됐다. 생맥주·기타주점(1억 7370만원), 김밥·간이음식(1억 8790만원)이 뒤에서 2~3위를 차지했다.

가장 매출액이 많은 업종은 의약품(약국)으로, 평균 연 매출은 10억 4520만원으로 집계됐다. 최하위인 치킨과 비교해 8억 7610만원의 격차가 있었다. 이어 편의점(5억 1010만원), 제과점(4억 1780만원) 순으로 매출액이 많았다. 프랜차이즈 가맹점당 평균 매출액은 3억 2190만원으로 전년보다 4.8% 늘었다.

전년대비 매출액 증가 폭이 큰 업종은 생맥주·기타주점(21.4%), 치킨(13.1%), 커피·비알코올 음료(10.3%) 등이었다. 안경·렌즈(-2.8%)는 매출이 유일하게 감소한 업종이었다.

이진석 통계청 산업통계과장은 “진입 장벽이 낮은 치킨 프랜차이즈는 가족끼리 소규모로 창업을 하는 사례가 많아 경쟁이 심한 업종”이라며 “다만 2017년 조류독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해 매출액은 다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미지 확대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지난해 말 가맹점 수는 총 20만 8618개로 전년(20만 6515개) 대비 2103개(1.0%) 증가했다. 가맹점 수가 가장 많은 업종은 편의점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편의점 가맹점은 총 4만 1359개로 전체의 19.8%를 차지했다. 2017년(3만 9549개)보다 1810개(4.65) 늘어났다.

다음으로는 한식업종과 치킨업종의 가맹점이 각각 2만 9209개(14.0%), 2만 5110개(12.0%)로 많았다. 두 업종의 가맹점 수도 2017년 대비 각각 3.4%, 1.8% 증가했다.

지난해 가맹점 수가 줄어든 업종은 문구점(-9.1%), 의약품(-6.7%), 제과점(-5.9%), 피자·햄버거(-1.5%), 생맥주·기타주점(-2.9%), 기타 프랜차이즈(-12.5%)로 조사됐다. 기타 프랜차이즈는 화장품이나 건강식품, PC방, 스크린야구 업종을 중심으로 가맹점이 줄어들었다.

지난해 가맹점 종사자 수는 80만 6465명으로 2017년보다 4만 2576명(5.6%) 증가했다. 종사자 수는 편의점(17만 9000명)과 한식(12만 4000명), 커피·비알코올음료 업종(7만 7000명)이 상위권이었으며, 3개 업종이 전체 종사자의 47.1%를 차지했다.

가맹점 종사자 중 64.1%에 해당하는 51만 7000명은 임금근로자였고 나머지 28만 9000명(35.9%)은 비임금근로자로 집계됐다.

임금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외국식(77.2%)이었으며 비임금근로자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치킨(63.1%)이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