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영끌·생끌에 가구당 빚 8000만원… 열에 한 집은 ‘연체의 굴레’

영끌·생끌에 가구당 빚 8000만원… 열에 한 집은 ‘연체의 굴레’

나상현 기자
입력 2020-12-17 22:26
업데이트 2020-12-18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대 집 구매·코로나 생계난에 첫 돌파
소득 1.7% 늘 때 부채는 4.4%나 뛰어
부동산·전월세 관련 금융부채가 73%
10.7% “원금 상환·이자 납부일 못 지켜”

올해 가구당 평균 부채가 처음으로 8000만원선을 넘었다. ‘영끌’(영혼까지 끌어 모은 대출)로 부동산을 구매하는 30대와 생계자금이 필요한 저소득층을 중심으로 부채가 크게 증가했다. 그러나 금융부채가 있는 10가구 중 1가구는 원리금 납기일도 지키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 3월 기준으로 가구당 평균 자산은 4억 4543만원, 평균 부채는 8256만원이었다. 모두 지난해보다 각각 3.1%, 4.4% 늘었다. 이에 따라 가구당 평균 순자산은 전년 대비 2.9% 증가한 3억 6287만원을 기록했다.

가구당 평균 부채가 8000만원을 넘어선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담보대출, 신용대출 등을 포함한 금융부채는 전체 부채의 73.3%(6050만원)였고 나머지 26.7%(2206만원)는 임대보증금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임대보증금(2.4%)보다 금융부채(5.1%)가 두 배 이상 높았다. 임경은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증가액으로 따졌을 때 담보대출이 굉장히 큰 폭으로 늘었다”면서 “부동산 가격이나 전월세 보증금이 증가한 측면과 연동해서 해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실제로 ‘왜 부채를 빌리게 됐는지’에 대해서도 별도로 조사를 하는데, 주택 구입이나 전월세 보증금을 위해 부채를 얻게 됐다는 비중이 대다수였다”고 말했다.

특히 가구주 연령대를 보면 30대에서 부채 증가율이 13.1%로 가장 높았다. 이어 29세 이하(8.8%), 50대(6.4%), 40대(6.0%), 60세 이상(1.1%) 순이었다. 특히 2030세대의 주택 구매 수요가 높아진 영향으로 해석된다. 소득 분위별로는 최하위층인 1분위(8.8%)와 2분위(8.6%)에서 가장 높은 부채 증가율을 보였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코로나19에 따른 생계자금 수요 영향으로 소득 하위 1·2분위 부채 증가율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임 과장은 “3월 말 기준이기 때문에 코로나19 영향으로 생긴 부채인지 그 이전부터 있었던 부채인지는 정확하지 않다”고 단서를 붙였다.

금융부채로 인한 부담은 상당히 컸다.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67.6%는 ‘원리금 상환이 부담스럽다’고 답했다. 지난해보다 1.1%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특히 10.7%는 지난 1년 중 원금 상환 또는 이자 지급의 납부 기일을 경과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납부 기일을 지키지 못한 이유로는 33.1%가 ‘소득 감소 때문’이라고 답했고 ‘자금 융통 차질’(23.6%), ‘이자 또는 원금 상환 부담 상승’(20.5%) 등의 이유도 있었다.

지난해 말 기준인 가구당 평균 소득은 5924만원으로 전년 대비 1.7% 증가에 그쳤다. 관련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낮은 증가율이다. 기초연금 인상 등으로 공적이전소득(18.3%)이 늘었지만 사업소득(-2.2%)이 줄고 근로소득(0.3%)도 소폭 증가에 그쳤기 때문이다. 다만 소득분배지표는 일제히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처분가능소득 5분위 배율은 6.25배로 1년 전보다 0.29배 포인트 감소했고 지니계수도 0.339로 1년 전보다 0.006 낮아졌다.

세종 나상현 기자 greentea@seoul.co.kr
2020-12-18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