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현대차 전기버스에서도 불…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현대차 전기버스에서도 불…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신진호 기자
신진호 기자
입력 2021-02-16 13:22
업데이트 2021-02-16 13: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창원서 도로 달리던 전기 시내버스에 불.  창원소방본부 제공
창원서 도로 달리던 전기 시내버스에 불.
창원소방본부 제공
화재 발생 전 배터리 부품 수리
인명피해 없어…국토부, 조사 지시


최근 현대차의 코나 전기차(EV)에서 잇따라 불이 나 조사 중인 가운데 최근에는 현대차가 제조한 전기 시내버스에서도 화재가 발생했다.

이 버스에도 코나 EV처럼 LG에너지솔루션(옛 LG화학 배터리 사업부문)이 만든 배터리가 사용됐으며 화재 발생 직전 해당 버스는 배터리 부품 관련 수리를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주행 중 전기차 화재 국내 첫 사례
16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경남 창원에서 도로를 달리다 불이 난 전기 시내버스는 2019년 현대차에서 제조한 ‘일렉시티’로, 정비공장에서 정비를 마친 뒤 차고지로 이동하던 중 배터리가 있는 지붕 쪽에서 불이 난 것으로 확인됐다.

화재로 버스가 전소됐으나 당시 수리 후 차고지로 이동 중인 관계로 승객이 없어 다행히 인명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불이 난 버스에는 최근 잇단 화재로 글로벌 리콜 조치를 시행한 현대차 코나 EV와 같은 LG화학 배터리가 탑재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이번 전기버스 화재 사고와 관련해 현대차와 자동차안전연구원, 소방서가 함께 정비 내용과 배터리 결함 여부 등을 비롯해 정확한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관계자는 “전기버스 화재와 관련해 자동차안전연구원에 조사를 지시했다”며 “화재가 배터리 셀 내부에서 발생했는지 외부에서 발생했는지를 살펴보고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과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일단 기초적인 조사를 진행한 뒤 제조 결함 가능성이 있으면 자동차안전연구원이 추가로 화재 원인 조사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

불이 난 시내버스는 화재 발생 전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PRA)라는 배터리 관련 부품 수리를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이번 화재는 국내에서 전기차 주행 중 발생한 첫 화재 사례라는 점에서도 관심을 끈다.

오스트리아에서 주행 중 발생한 사례 외에는 국내 코나 EV 화재 사례는 모두 충전 또는 주차 중에 발생했다.

국토부와 자동차연구원은 앞서 진행 중인 코나 EV 화재와의 연관성이 있는지도 살펴볼 예정이다.

코나 EV 화재 원인 조사 중…조만간 발표 전망
업계에서는 국토부가 조만간 코나 EV의 화재 원인 조사 결과를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토부는 당초 고전압 배터리의 배터리 셀 제조 불량으로 인해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확인됐다고 밝혔으나 배터리 제조사인 LG에너지솔루션은 제조 결함 가능성을 부인해왔다. 코나 EV 화재 원인은 자동차안전연구원에서 조사 중이다.

현대차는 이번 조사 결과에 따라 코나 EV의 배터리시스템을 전량 교체할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경우 1조원 이상의 비용이 들 것으로 보이며 소요 비용은 LG에너지솔루션과 협의 후 분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해 10월 현대차는 코나 EV의 화재가 잇따르자 2017년 9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제작된 코나 EV 7만 7000대를 전 세계에서 리콜했다.

리콜은 배터리관리시스템(BMS)을 업데이트한 후 과도한 셀 간 전압 편차나 급격한 온도 변화 등 배터리의 이상 징후가 발견되면 배터리를 즉시 교체하는 식으로 진행됐다.

코나 EV는 2018년 출시 이후 국내 11건, 해외 4건 등 총 15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에는 리콜 조치를 받은 코나 EV에서도 불이 나면서 리콜의 적정성을 놓고 논란이 벌어지기도 했다.

신진호 기자 sayho@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