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근로·사업·재산소득 트리플 감소… 가계 ‘코로나 충격’ 못 털었다

근로·사업·재산소득 트리플 감소… 가계 ‘코로나 충격’ 못 털었다

임주형 기자
임주형 기자
입력 2021-05-20 22:24
업데이트 2021-05-21 03: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분기 가계동향조사 분석

고용·상여금 줄고 자영업 줄폐점 직격탄
물가 감안 실질소득 3년 6개월 만에 후퇴
재난지원금 덕분에 전체 소득 찔끔 늘어

소비심리는 지난해 2분기 이후 처음 반등
혼술 영향 주류 소비 5년 만에 최대 증가
이미지 확대
20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빈 상가에 임대를 알리는 문구가 크게 붙어 있다. 올 1분기 자영업자 수는 코로나19 충격으로 1년 전보다 10만 6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20일 서울 중구 명동 거리의 빈 상가에 임대를 알리는 문구가 크게 붙어 있다. 올 1분기 자영업자 수는 코로나19 충격으로 1년 전보다 10만 6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최근 우리 경제가 회복세에 접어들었다는 통계가 잇달아 발표됐지만 가계는 여전히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분기(1~3월) 가계가 일해서 번 근로소득과 사업을 통해 획득한 사업소득, 자산을 활용해 얻은 재산소득이 한꺼번에 감소했다. 재난지원금 덕분에 전체 소득이 줄어드는 건 면했지만 물가상승률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3년 6개월 만에 뒷걸음질쳤다. 가계가 체감한 살림살이가 그만큼 팍팍했던 것이다.

20일 통계청의 ‘2021년 1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올 1분기 전국 1인 이상 가구(농림어가 포함)의 월평균 근로소득은 277만 8000원으로 1년 전보다 1.3% 감소했다. 사업소득(76만 7000원)과 재산소득(3만 3000원)도 각각 1.6%, 14.4% 줄었다. 근로·사업·재산소득이 ‘트리플’ 동반 감소한 건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된 지난해 2분기에 이어 역대 두 번째다.

근로소득 감소는 고용이 줄고 상여금이 축소된 영향을 받았다. 사업소득은 문을 닫은 자영업자가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1분기 자영업자 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만 6000명이나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 재확산으로 음식·숙박 등 대면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감소했고, 자영업 업황 부진의 영향 등으로 근로·사업소득이 동시에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재산소득의 경우 규모가 작아 변동 폭이 큰데, 저금리로 이자소득 등이 감소한 원인으로 분석된다.
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영향으로 이전소득이 16.5%나 늘면서 가계 전체 월평균 소득은 0.4% 증가한 438만 4000원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물가상승률(1.1%)을 감안한 실질소득은 -0.7%를 기록했다. 실질소득이 감소한 건 2017년 3분기(-1.8%) 이래 14분기(3년 6개월) 만이다.

소비심리는 약간 나아졌다.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41만 9000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6% 증가했다. 지난해 2분기 이래 3분기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물가상승률 영향을 배제한 실질 소비지출도 0.5% 늘었다. 품목별로는 식료품·비주류음료(7.3%), 의류·신발(9.3%), 주거·수도·광열(6.8%), 가정용품·가사서비스(14.1%), 교육(8.0%) 등의 지출이 증가했다. 특히 주류만 놓고 보면 1년 새 17.1% 급증해 2016년 1분기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증가 폭을 기록했다. 집에서 혼자 음주를 즐기는 ‘혼술’, ‘홈술’ 등의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소득 증가분보다 지출이 늘면서 평균소비성향(소비지출을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값)은 1년 전보다 0.5% 포인트 상승한 68.9%로 파악됐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최근의 경기 회복세에도 근로·사업소득이 감소하는 등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다”며 “다음달 발표하는 하반기 경제정책 방향에 내수 확대와 일자리 창출 등 추가 대책을 담겠다”고 말했다.

세종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21-05-21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