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동산으로 흘러간 ‘위험노출액’ 2500조원 넘어서

부동산으로 흘러간 ‘위험노출액’ 2500조원 넘어서

홍인기 기자
홍인기 기자
입력 2022-04-12 17:58
업데이트 2022-04-13 06: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작년 국내총생산의 125% 기록
49%가 담보대출 등 가계 여신
금융기관 위험노출액은 1342조

이미지 확대
가계와 기업의 주택대출, 부동산펀드·리츠와 같은 금융투자상품 등 부동산으로 흘러들어 간 돈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가 25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가치가 하락하는 등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실물경제로 위험이 전이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12일 장혜영 정의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2566조 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위험노출액은 금융기관과 보증기관이 취급한 부동산 관련 대출과 금융투자상품을 합산한 금액이다. 2019년 처음으로 2000조원을 넘은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2020년 2283조 5000억원에서 지난해 2500조원을 넘었다. 2019년 이후 늘어난 금액만 498조 4000억원에 달한다.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명목 국내총생산(GDP)과 비교해 빠른 속도로 늘어나고 있다. 2017년 97.9%였던 GDP 대비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은 2018년에는 GDP보다 많아지기 시작했다. 2018년 101.2%, 2019년 107.5%, 2020년 118.1%를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124.7%로 집계됐다. 경제 성장 속도보다 부동산으로 흘러들어 간 자금의 규모가 더 빠르게 증가했다는 얘기다.

지난해 말 기준 부동산금융 위험노출액의 절반 정도(49.4%)는 부동산담보대출·정책모기지론·주택연금 등 가계 여신(대출)이 차지했다. 대출·사업자보증·프로젝트파이낸싱(PF)대출 등 기업 여신은 38.6%, 주택저당증권(MBS)·부동산펀드·리츠 등 금융투자상품은 12.0%였다.

부동산 가치 하락 등을 이유로 빚을 갚기 어려워지면 보증기관이나 투자기관이 아닌 금융기관이 최종적으로 부담을 져야 하는 위험노출액의 규모는 1341조 6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장 의원은 “비은행기관이 최종 부담을 지는 비중이 2017년 39.7%에서 지난해 44.1%로 증가했다”며 “대출 규제 완화 등으로 위험을 키워서는 안 되고 손실흡수능력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비은행권과 보증기관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홍인기 기자
2022-04-13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