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카카오, 모빌리티 전직원과 첫 간담회 열었지만...매각 내홍 장기화 조짐

카카오, 모빌리티 전직원과 첫 간담회 열었지만...매각 내홍 장기화 조짐

윤연정 기자
입력 2022-07-18 18:36
업데이트 2022-07-18 18: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카카오, 매각 검토 배경 설명…직원들 질의응답 90분 이어져
노조 “같은 얘기 반복…대주주 바꾸는 것 문제 핵심 아니야”
사측 “외부의 따가운 시선 있다보니 지분조정 불가피했다”
이미지 확대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연합뉴스
카카오모빌리티 택시. 연합뉴스
카카오 경영진이 자회사인 카카오모빌리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첫 온라인 간담회를 열었지만, 의견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았다. 매각을 둘러싼 노사 갈등이 장기화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카카오는 오후 2시 카카오모빌리티 전 직원을 대상으로 ‘올핸즈 미팅’ 온라인 간담회를 열고 90분가량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 과정과 결정 이유 등에 대한 설명을 진행했다. 이날 김성수 카카오 공동체얼라인먼트센터(CAC)장과 배재현 카카오 최고투자책임자(CIO) 그리고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가 참석했다.

이날 회의에서 매각 추진 배경에 대해 김 의장은 “메신저 회사인 카카오가 택시, 대리, 주차를 하냐는 외부의 공격이 많은 상황”이라며 “카카오 입장에서 경영권을 놓는다는 건 쉽지 않은 결정이지만 카카오모빌리티 성장을 위해선 불가피한 조치였다”고 재차 확인했다.

사모펀드사에 매각하려는 이유를 묻는 직원들에게 배 CIO는 ”지난 국정감사 이후 카카오모빌리티 사명에서 카카오를 제외하는 방안, 계열사에서 분리에 대해 검토했다“며 “카카오라는 메신저 플랫폼에서 독과점적 지위를 가진 회사가 택시, 대리 사업을 이어 나가는 것에 대한 외부의 따가운 시선이 있다 보니 지분조정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

지난 11일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 크루 유니언 등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카카오모빌리티 투기자본 MBK 매각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뉴스1
지난 11일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카카오 공동체 노동조합 크루 유니언 등 노동시민사회단체 회원들이 ‘카카오모빌리티 투기자본 MBK 매각 반대 기자회견’을 갖고 있다. 뉴스1
이날 간담회에서도 노사 간 견해 차이가 좁혀지지 않아 향후 갈등은 더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참여 직원들은 경영진들이 여전히 모빌리티 매각을 전제로 얘기를 풀어나갔다고 지적했다. 서승욱 카카오지회장(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은 “대주주를 바꾸는 게 문제의 핵심이 아니고 사업의 사회적 공존과 성장에 대해 논의해야 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매각과 관련한 저희 입장을 계속 전달해왔지만, 이번 간담회에서도 새롭게 나온 얘기도, 입장에 대한 변화도 없었다”고 말했다.

이번 카카오 노사 간 갈등은 지난달 카카오가 사모펀드인 MBK파트너스에 카카오모빌리티 지분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불거졌다. 카카오모빌리티의 1대 주주인 카카오는 이달 초 10%대의 모빌리티 지분 매각을 검토하고 있다는 사실을 사내에 알렸다. 일부 지분만 매각해 최대 주주를 포기하고 2대 주주로 남겠다는 것이다. 현재 카카오는 카카오모빌리티 지분의 57.5%를 보유하고 있다. 글로벌 사모펀드인 TPG컨소시엄이 29%, 칼라일그룹이 6.2% 지분을 갖고 있다.

앞서 김 센터장 등 카카오 경영진이 노조와 두 차례 간담회를 가졌으나 노사 갈등은 더 심화됐다. 카카오모빌리티 임직원 75% 이상이 노조에 가입해 매각에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카카오 노동조합은 “향후 카카오 CAC 센터와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모빌리티 단체교섭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오는 25일 대리운전노동조합을 중심으로 열리는 MBK 반대 집회에도 참여해 플랫폼노동자들과 함께 카카오모빌리티의 사회적 책임 강화 등을 위한 공동실천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윤연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