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흥국생명 사태에 한국물 채권 ‘거래 절벽’… 외화 조달시장 빨간불

흥국생명 사태에 한국물 채권 ‘거래 절벽’… 외화 조달시장 빨간불

강신 기자
강신 기자
입력 2022-11-06 20:34
업데이트 2022-11-07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불문율’ 콜옵션 미행사에 30% 급락
타 보험사·은행 채권도 동반 하락
당국, 회사채 발행 주기 분산나서
전문가 “통제 아닌 불확실성 해소를”

레고랜드 사태로 촉발된 단기자금 시장 경색이 ‘흥국생명의 달러화 신종자본증권 콜옵션(조기상환) 미실시’ 여파로 외화유동성 조달 시장 전체로 번지고 있다. 국내외 투자자를 가리지 않고 한국물(Korean Paper)로 불리는 외화표시채권 상품에 대한 주문을 멈췄고 이에 따라 가격도 급락하고 있다.

6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화채권시장에서 흥국생명의 액면가 100달러 신종자본증권(영구채) 거래 가격은 지난 4일 72.2달러로 급락했다. 흥국생명이 콜옵션 포기 의사를 공시하기 하루 전인 10월 31일 99.7달러에 거래됐던 것에 비하면 가격이 30% 가까이 떨어진 것이다. 예정대로 이달 상환을 예상하고 시장에서는 100달러 가까운 가격에 거래됐으나 이번 사태로 상환 시기가 최대 30년으로 늘어나면서 가격이 떨어진 것이다. 그동안 한국물 신종자본증권은 콜옵션 행사가 불문율처럼 이뤄져 왔다.
다른 보험사와 은행의 신종자본증권 가격도 동반 하락하고 있다. 2025년 9월 콜옵션 만기인 동양생명 신종자본증권은 같은 기간 83.4달러에서 52.4달러로, 2024년 10월 만기인 우리은행 신종자본증권은 87.5달러에서 77.8달러로 떨어졌다. 내년 8월 만기인 신한금융지주 신종자본증권도 96.6달러에서 91.5달러로 내려갔다.

거래도 사실상 자취를 감췄다. 한 증권사 해외채권운용 담당자는 “흥국생명 콜옵션 미행사 이전에는 한국물에 대한 유동성이 원활하지 않아도 매수·매도 호가는 있었으나 콜옵션 포기 사태 이후에는 이마저도 사라졌다”고 밝혔다. 한 자산운용사 채권운용 담당자는 “이달 들어 실거래가 전혀 없는 신종자본증권이 많아졌다. 한국물에 대한 시장 전반의 신뢰가 깨지면서 거래가 얼어붙자 저가 투매 수준의 물량만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창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이사는 “한국 보험사들의 신종자본증권 신규 발행과 차환을 통한 조달 계획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이와 함께 시장에서는 정부가 지급보증하는 AAA급 초유량채인 한전채가 3년 만에 처음으로 유찰되는 수모를 겪었다. 지난달 17일에는 4000억원의 회사채를 발행하려 했지만 3400억원의 응찰을 받아 2800억원어치만 발행했다. 20일에도 목표 물량(4000억원)보다 적은 3000억원의 응찰을 받아 1700억원만, 25일에는 2000억원의 발행 예정 물량 중 800억원만 발행됐다. 26일에도 2000억원의 목표 물량 중 800억원만 응찰을 받는 데 그쳐 600억원만 발행했다. 한국전력은 “레고랜드 사태로 금융시장이 급격히 경색되면서 투자 심리가 위축돼 채권 발행 예정량을 채우지 못했다”고 밝혔다.

한편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지난 1일과 3일, 4일 은행·보험·카드·캐피털사 등 금융 업체들과 잇따라 만나 시장 점검 회의를 열고 자금시장 경색을 막기 위해 회사채 발행 주기를 서로 겹치지 않게 조절하도록 했다.

하준경 한양대 경제학과 교수는 “기업 등의 필요에 따라 발행하는 회사채를 당국이 원하는 대로 통제하는 것이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정보를 제공해 시장의 불확실성을 덜어 줘야지 강제로 조정하려고 했다가는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다”고 밝혔다.

강신 기자
2022-11-07 1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