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美선거·CPI 전망에… 원달러 환율 두 달 만에 1360원선 안착

美선거·CPI 전망에… 원달러 환율 두 달 만에 1360원선 안착

민나리 기자
민나리 기자
입력 2022-11-09 18:02
업데이트 2022-11-10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화 장악 전망… 달러 상승세 주춤
코스피 두 달여 만에 2400선 회복
외인·기관 순매수… 지수 끌어올려
美 추가 긴축 등 방향 전환 불확실

이미지 확대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0.1원 떨어진 1364.8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1360원선으로 내려온 건 두 달 만이다. 원화 약세에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가 이어지면서 코스피는 25.37(1.06%) 오른 2424.41, 코스닥은 1.27(0.18%) 오른 714.60에 장을 마쳤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의 모습. 연합뉴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종가보다 20.1원 떨어진 1364.8원에 거래를 마감했다. 1360원선으로 내려온 건 두 달 만이다. 원화 약세에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가 이어지면서 코스피는 25.37(1.06%) 오른 2424.41, 코스닥은 1.27(0.18%) 오른 714.60에 장을 마쳤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명동 하나은행 본점 딜링룸의 모습.
연합뉴스
미국 중간선거 결과와 소비자물가지수(CPI) 전망 등의 영향으로 달러화 강세가 주춤하면서 원달러 환율이 두 달 만에 1360원 선으로 내려왔다. 원달러 환율의 하락세와 외국인 수급이 지속되면서 코스피 또한 2400원 선을 회복했다.

9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1376.0원에서 출발한 원달러 환율은 전날 종가보다 20.1원 내린 1364.8원에 장을 마감했다. 종가 기준 1360원대로 돌아온 건 두 달 만이다. 지난달 21일 1439.8원을 기록하며 고점을 찍었던 환율은 이후 등락을 거듭하다 최근 사흘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전날 1384.9원으로 1400원대 아래로 떨어진 후 이날 낙폭을 키우면서 1360원대에 안착했다.

달러화 약세는 미 중간선거 결과와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이 나온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공화당이 바이든 행정부의 재정지출에 제동을 걸어 물가 압력이 완화될 거란 기대감이 확산된 데다, 블룸버그가 10월 소비자물가지수를 전월 상승폭(8.2%)보다 낮은 7.9%로 전망하며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둔화될 거란 관측이 나온 것도 힘을 보탰다.

원달러 하락세와 외국인 수급이 지속되며 코스피 또한 두 달여 만에 2400원 선에 올라섰다. 지난 3일 이후 줄곧 상승세를 보이던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보다 1.06% 오른 2424.41에 장을 마쳤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156억원, 3480억원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고, 개인은 7766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을 실현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10개 종목 중 삼성전자(0.32%), LG에너지솔루션(1.87%) 등도 상승 마감했다.

다만 금융업계는 추세적인 상황으로 판단하기엔 이르다는 평가다. 권아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추가 긴축, 중국의 불확실성 등을 고려하면 현 상황을 방향성 전환으로 해석하긴 어렵다”고 밝혔다. 다만 통상 중간선거 이후 1년간 뉴욕증시가 활황세를 보였던 점을 감안하면 상승장이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선 원화가 다소 안정세를 보임에 따라 오는 24일 한국은행이 빅스텝(기준금리 0.50% 포인트 인상) 대신 베이비스텝(0.25% 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한미 간 금리격차가 1% 포인트로 벌어져 있어 빅스텝이 불가하단 전망이 우세하지만, 자금 경색 등 위기 상황을 감안하면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민나리 기자
2022-11-10 4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