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실징후기업, 코로나 전보다 21% 줄어… 대출 상환 유예 등 유동성 지원 착시 우려

부실징후기업, 코로나 전보다 21% 줄어… 대출 상환 유예 등 유동성 지원 착시 우려

황인주 기자
황인주 기자
입력 2021-12-16 20:52
업데이트 2021-12-17 02:5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실징후기업의 수가 코로나19 이전보다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처 등 유동성 지원으로 부실이 물밑에 가라앉아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감독원은 올해 신용위험평가 결과 대기업 3곳과 중소기업 157곳 등 160개사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3곳이 늘었다. 올해와 지난해의 부실징후기업 수는 평균 158곳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3년(2017∼2019년)간 평균 200곳보다 21% 줄었다. 금감원은 대출 만기 연장과 상환 유예 조치 등으로 기업 자금 사정이 개선됐다고 풀이했다.

등급별로 보면 C등급이 79개사로 지난해보다 13곳 늘었고, D등급은 81개사로 10곳 줄었다. 업종은 금속가공업이 21곳으로 가장 많았고 기계장비(17곳), 자동차부품(16곳)이 뒤를 이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의 충당금 추가 적립액은 약 1124억원으로 추정됐다. 전문가들은 대출 상환 유예 등이 끝나면 부실이 한꺼번에 몰려올 것을 우려했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통화 정책이 정상화되면 부실기업이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정희 중앙대 경제학부 교수는 “부실 문제가 일단 감춰져 있는 상황”이라며 “상환 시기가 와서 기업들의 생명줄이 끊어지면 바로 위기가 불거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황인주 기자 inkpad@seoul.co.kr
2021-12-17 18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