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추노(推奴)/이순녀 논설위원

[씨줄날줄]추노(推奴)/이순녀 논설위원

입력 2010-01-25 00:00
업데이트 2010-01-25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황석영의 대하소설 ‘장길산’은 만삭이 된 여비(女婢)가 추노(推奴)를 피해 도망치는 장면으로 시작된다. 벽란나루 시장판에서 광대패의 도움으로 목숨을 구한 여비는 아이를 낳다 숨지고, 광대 장충이 아이를 거둔다. 그 아이가 조선 숙종대에 활약한 의적(義賊) 장길산이다.

추노는 도망치는 노비를 붙잡아 주인에게 돌려주던 일을 일컫는 말로 노비 추쇄로도 불렸다. 고조선 시대로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우리나라의 노비제는 조선 초기 가장 엄격하게 유지됐다. 고려 말과 조선 초기에는 ‘인물추변도감’ ‘노비추쇄도감’ 등 도망간 공노비를 잡아들이는 국가기관이 존재했다. 그러나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은 17세기 이후 공을 세운 노비에게 노비의 신분을 벗어나게 해주는 군공면천을 실시하고, 돈으로 신분을 살 수 있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노비제도는 크게 흔들리게 됐다.

도망 노비를 쫓는 추노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에서도 찾을 수 있다. 주로 가혹한 추노에 따른 폐해를 지적한 것들이다. 숙종실록 17권(숙종 12년)에는 “흉년에 노비를 추쇄하고 빚을 독촉하는 것은 모두 금령이 있는데도 해미 현감 강필건이 그 족인을 위해 병자년에 도망간 노비의 족속을 끝까지 추쇄하면서 혹독하게 형장으로 신문해 한 마을이 텅 비게 됐다.”고 나와 있다. 경종실록 13권(경종 3년)에는 “온성 부사 노흡은 일찍이 영남의 영장을 맡았을 때 도적을 잡는다 빙자하고 추노를 겸하여 행했는데 부민을 마구 침탈하여 받은 뇌물이 셀 수가 없을 정도”라고 기록돼 있다.

일반인에게 거의 알려지지 않았던 추노와 추노꾼이 역사책의 두꺼운 더께를 뚫고 세상 밖으로 성큼 나왔다. 드라마 ‘추노’를 통해서다. 방송 6회 만에 시청률 30%를 웃돌며 고공행진 중이다. 구중궁궐 암투극이나 양반가 사랑놀음의 구태의연한 사극에서 벗어나 그동안 한번도 역사의 전면에 나선 적이 없었던 노비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드라마 ‘추노’는 새로운 사극에 목말라 있던 시청자들에게 신선한 자극제가 되고 있다.

드라마 속 추노꾼은 피와 눈물이라곤 없는 비열한 인간 사냥꾼으로 묘사된다. 사료에는 이들의 존재가 명확하게 나와 있지 않지만 역사학자들은 개연성이 충분하다고 말한다. ‘사람 위에 사람 없고, 사람 밑에 사람 없다.’는 상식이 통하지 않았던 시대를 맨몸으로 굴러야 했던 이들의 삶이 21세기를 사는 지금 우리에게 적지않은 여운을 던지고 있다.

이순녀 논설위원 coral@seoul.co.kr
2010-01-25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