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방시대] 부산·경남 물싸움 지역이기 극복을/차용범 부산시 미디어센터장

[지방시대] 부산·경남 물싸움 지역이기 극복을/차용범 부산시 미디어센터장

입력 2010-04-13 00:00
업데이트 2010-04-13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차용범 부산시 미디어센터장
차용범 부산시 미디어센터장
‘인사 충원의 협착성’이란 말이 있다. 정치학 용어다. 임명권자가 특정 지역·인맥을 중심으로 사람을 쓰는 경우를 말한다. 미국의 ‘캘리포니아 마피아’ ‘조지아 마피아’, 중국의 ‘상하이 방(幇)’이 좋은 사례이다. 이 말은 우리나라에서도 엄연한 생명력을 갖는다. ‘XX도 정권’이니 ‘○○ 정권’이니 하는 통속적 표현이 설득력이 있는 것은 부인할 수 없다.

문민정부 시절, 부산·경남은 ‘PK’라는 지칭 아래 같은 지역, 한통속으로 불려왔다. ‘우리가 남이가?’ 세상에 자랑하고 싶은 한국사람의 정을 강조하며, ‘부산·경남은 하나’임을 대변한 유행어다. 한때는 그 정감 어린 어원을 탈색시킨 정치판 지역주의의 어긋난 전형이다. 긴 말 할 것 없이, 부산·경남은 역사적으로 지리적으로 한몸이니, 언제 어디서나 끈끈하게 얽혀 ‘한통속’으로 살아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부산·경남은 이 말이 갖는 일면의 긍정성만큼 정말 서로 위하며 기대온 한통속이었을까?.

현실은 “그게 그렇지만은 않다.”이다. ‘말’과 ‘실속’의 관계가 같지만은 않다는 것이다. 같은 생활권에 살면서도 뜨거운 대립을 빚기 예사이다.

요즘 부산·경남의 단절·갈등 관계를 보라. 부산신항 명칭부터 관할권 문제까지, 남부권 신공항 입지문제에서 남강댐 맑은 물 나눠 먹기 논란까지….

부산은 공항기능을, 경남은 개발 효과를 강조한다. 지역발전과 국가경쟁력 강화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논란의 행간에선 치열하게 맞선 지역이기주의를 쉽게 읽을 수 있다. 남강 맑은 물 먹기 논란도 그러하다. 정부는 남강 물을 부산에 공급하려 하고, 경남은 “남강 물을 부산에 줄 수 없다.”라며 거세게 반발한다. 양의 동서, 시대의 고금을 통틀어 ‘물싸움’이 아무리 치열하기로, 부산과 경남이 먹는 물을 두고 ‘전쟁’을 치러야 할 만큼 다른 나라, 다른 민족의 ‘적’과 같은 존재인가?

두 시·도 간의 반목과 마찰은 예사롭지 않다. 서로 작은 잇속을 챙기고 하찮은 콧대를 세우느라 ‘숙적’ 관계로 전락하기도 한다. 어느 사회인들 이념·계층·지역·세대 간 갈등이 전혀 없기야 하겠는가. 다만, PK의 최근 갈등에는 협상론적 시각이 취약하다. ‘상대방의 이익은 나의 손해’라는 시각에 사로잡혔을까? 두 지역의 전통적 동일성과 당위적 공존성을 외면한 채 극단적인 지역이기에 빠져 서로 삿대질하고 있다.

문제는 이 지역이기이다. 그것은 버려야 할 관료주의의 병폐와 우려했던 지방자치의 부작용이라 해도 무방하다. 두 지역의 갈등관계 역시 지난 1963년 행정구역 분리부터 시작됐다. 그 고약한 ‘행정구역’은 동일 생활권의 공영, 두 지역의 보완적 결합보다는 철저한 자기방어나 지역이기의 폐단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다행히, 부산·경남은 다시 상생협력을 다짐하고 있다. 동남권 광역경제권의 가능성도 눈여겨본다. 지역 간 경계를 넘어, 더욱 넓은 공간(연성공간)을 대상으로 한 지역개발 경향과 정부 정책에 부응한 움직임이다.

광역권 발전이 성공하려면 전제조건이 있을 터이다. 그 핵심은 보완적 광역화이다. 이제 부산·경남은 정녕 ‘PK’를 넘어 서로의 공존과 번영을 새삼 다짐해야 한다. 그것은 피치 못할 시대적 과제이다. 세상 말대로 ‘우리가 남인가’.
2010-04-13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