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맥주병 해군/박대출 논설위원

[씨줄날줄] 맥주병 해군/박대출 논설위원

입력 2010-09-04 00:00
업데이트 2010-09-04 00:2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은 태생적으로 물과 가깝다.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수영을 한다. 정확하게 말하면 양수 속에서다. 임신 4개월째부터다. 수중 분만하면 엄마 뱃속과 같은 조건이 된다. 아기가 세상 밖으로 나올 때 충격을 덜어준다. 고대로부터 전해지던 분만법이다. 크레타 문명의 미노스인들은 신전에서 수중 분만했다. 인디언들은 낮게 고인 바닷물이나 낮은 강물에서 아기를 낳았다. 수중 감염 우려 때문에 퇴색됐다가 1960년대 재개됐다. 러시아 수영 강사인 파프콥스키가 딸을 물속에서 낳았다. 이후 수중 분만 연구가 본격화됐다.

사람은 원래 물에 뜬다. 19세기 이탈리아 목사인 베라루디가 부력 연구로 이 결론을 얻었다. 그럼에도 누구나 수영을 할 수 있는 건 아니다. 태아 때처럼 물에 순응해야 가능하다. 어릴 적 강가나 수영장에서 물장구를 치는 건 물에 순응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을 극복하지 못하면 ‘맥주병’이 된다.

수영의 역사는 오래됐다. BC 2000년 이집트 문헌에는 수영을 가르친 기록이 남아 있다. BC 1000년 무렵 아시리아, 바빌로니아에도 수영하는 모습의 불상이 전해져 온다. 아시리아 군인은 바람주머니를 몸에 걸쳤다. 산양가죽에 공기를 넣어 만들었다. 수영을 단체로 가르친 건 군사목적에서다. 고대 아테네와 스파르타에선 수영을 교과목에 넣었다. 페르시아에선 소년 군사훈련의 과정으로 삼았다. 중세에선 군인의 필수 과목이 됐다. 일본 학습원의 스파르타 교육은 2차 대전 후에도 이어졌다. 일본 국왕의 아들도 일본식 팬티인 훈도시를 차고 수영훈련을 받았다.

해군의 63.5%가 수영을 못한다고 한다. 한나라당 김학송 의원이 해군본부로부터 입수한 자료에서 드러났다. 다소 충격적이다. 속된 말로 ‘당나라 군대’를 보는 기분이다. 혹자는 수영 무용론(無用論)을 펼지도 모른다. 현실적으로 모든 해군이 수영할 필요가 있느냐고 항변할 수도 있다. 해상근무 땐 구명조끼를 착용한다. 수영을 못해도 물에 뜬다. 그러나 만일을 위해 대비하는 게 군이다. 설령 천안함 사태가 재발한다면 어떻게 되나. 비근무조는 수영을 못 하면 구조기회조차 못 얻는다.

자존심 문제도 있다. ‘맥주병 해군’. 강군이라고 자부하기엔 선뜻 내키지 않는다. 연 1회 수영평가만으론 부족하다. 평시 훈련 체제를 갖춰야 한다. 장병들이 적극적이면 더 낫다. 이왕 해군에 몸 담았으면 기를 쓰고 수영을 배울 필요가 있다. 유사시 생명도 지키고, 평상시 건강도 얻는다. 꿩 먹고 알 먹기다.

박대출 논설위원 dcpark@seoul.co.kr
2010-09-04 27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