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서민(庶民)의식/이용원 특임논설위원

[씨줄날줄] 서민(庶民)의식/이용원 특임논설위원

입력 2010-09-06 00:00
업데이트 2010-09-06 01: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당신은 서민인가, 중산층인가. 서민과 중산층을 구분하는 기준은 사실상 없다. 중산층은 경제학에서 ‘상류층과 빈곤층의 중간’으로 설정한 계층으로서 각종 통계치에 실체가 등장한다. 예컨대 지난 7월 나온 한국개발연구원(KDI) 보고서는 지난해 중산층 가구 비율을 56.7%로 잡았다. 반면 서민(庶民)은 그 사전적 의미가 ‘아무 벼슬이나 신분적 특권을 갖지 못한 일반 사람’ 또는 ‘경제적으로 중류 이하의 넉넉지 못한 생활을 하는 사람’이다. 학술적으로는 일정한 개념이 없기에 서민이란 이성보다는 정서적으로 존재하는 계층인 셈이다.

이 시대 서민의 자화상을 명확히 보여주는 조사 결과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나왔다. 이에 따르면 우리사회의 20~60대 중 85.9%가 스스로 서민이라고 여겼다. 그들이 생각하는 서민이란 저소득층에서 중산층 바로 아래 계층까지였다(80.4%). 중산층도 서민에 속한다고 본 사람은 20%가 채 되지 않았다. 10여년 전만 해도 열명이 모이면 일고여덟명은 중산층임을 자처했다. 그런데 이제는 열명에 여덟아홉명이 서민이라고 느낀다. 사회적·경제적 위상으로는 그때나 지금이나 큰 차이가 없을 중간계층 사람들에게 왜 이런 의식의 변화가 생겼을까.

서민과 중산층을 가르는 데는 현실적인 만족감과 자신감, 미래에 대한 희망 등 정서적 요소가 작용한다. 동일한 직위에 같은 액수의 봉급을 받더라도 “열심히 살면 상류층이 될 수 있다.”고 믿던 시절에는 너나없이 중산층임을 자부할 수 있었다. 이제는 상대적 박탈감이 심하고 장래를 불안하게 내다보는 분위기가 일반적이다. 그래서 빈곤층이 되지 않은 걸 그나마 다행으로 여기며 서민을 자처할 수밖에 없다.

정부의 ‘친서민 정책’은 물론 필요하다. 하지만 서민은 사회적 약자로 부축을 받아야 하는 대상이다. 이에 비해 중산층은 제 두 발로 서며 미래로 나아가는 존재이다. 따라서 국민이 서민이라 느끼는가, 중산층으로 여기는가에 따라 사회적 활력은 달라진다. 85.9%가 중산층도 안 된다고 위축돼 있으면 발전의 동력이 작동할 리 없다. 그러므로 정책의 본질은 ‘친서민’이 아니라 ‘중산층 되살리기’여야 한다. 그러려면 양극화를 빠른 기간에 해소하고 사회 각 분야에서 공정함과 정의로움을 되찾아야 한다. 노력하면 누구나 중산층이 되고, 더 나아가 상류층에 진입하는 사회. 그것이 바로 민주사회이고 선진국 아닌가.

이용원 특임논설위원 ywyi@seoul.co.kr
2010-09-06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