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방시대] 산복도로를 아십니까?/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지방시대] 산복도로를 아십니까?/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입력 2011-03-22 00:00
업데이트 2011-03-22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어사전에도 잘 나오지 않는 독특한 곳이 부산에 있다. 산복도로가 바로 그것이다. 시내 전역 산비탈 65㎞에 걸쳐 있는 이 산복도로는 부산의 지형 특성과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달해 왔다.

이미지 확대
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부산이 산을 등지고 바다와 마주보고 있는 ‘배산임해’(背山臨海) 지형이어서 산등성이에 주거지역이 발달할 수밖에 없었다. 역사적으로 멀리는 식민지시대 부두노동자들의 거주지로, 가깝게는 한국전쟁기에 전국에서 모여든 피란민들의 거처로 쓰이면서 종횡으로 넓게 주거지가 발달했고, 이들 지역을 좌우로 연결하려고 도로가 형성됐다.

부산역에서 바다를 등지고 산을 올려다 보면 언덕배기에 촘촘히 들어선 집들을 볼 수 있는데, 이처럼 원도심의 산복도로는 연장 35㎞에 4개의 큰 산을 둘러싸고 이어져 있다. 이 원도심 산복도로 주변에는 30여만명의 주민이 가파른 계단과 다닥다닥 붙어 있는 낡은 집들을 의지해 살고 있다. 영락없는 고지대다. 혹자는 ‘서민의 마천루’라 부르며 그 궁박함을, 또 다른 사람은 ‘항구도시의 성채(城砦)’라 부르며 경관적 특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그런데 한 가지 분명한 것은 부산사람 누구도 이 산복도로에서 벗어날 수가 없다는 것이다. 일부 토박이를 제외하고 1960~70년대 대규모 이농으로 부산으로 전입한 많은 세대의 첫 거주지가 대부분 산복도로 주변인 경우가 많았다. 아마 집값이 싸고 텃세가 비교적 덜하기 때문이었으리라. 또, 한국의 산업화를 부산이 이끌던 시절에 부산으로 몰려든 수많은 신발·봉제공장의 근로자들의 부담 없는 주거지가 바로 이 산복도로 언저리였다. 도심으로 내려와서 이것저것 해 보다가 잘 안되면 다시 이곳으로 올라오기도 했다. 그래서 산복도로를 노래한 어느 시인은 “부산사람의 시작이자 끝이 산복도로”라 했다.

이 산복도로는 이제 지난 60여년 동안 한국전쟁, 근대화, 산업화 시기를 거치면서 서민들을 넉넉히 품고 애환을 달래주던 그 역할에 가쁜 숨을 몰아쉬고 있다. 한 조사에 의하면 이곳 사람들은 가파른 계단, 낡은 집, 방범문제 등을 호소하고 있으면서도 이웃 간의 인정, 공동체 유대감 등은 아직도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산복도로 르네상스’가 시작되고 있다. 르네상스가 복고와 인간성의 결합적 의미라면, 이곳이야말로 르네상스가 절실히 필요하다. 나라가 어려웠던 시절, 헐벗고 굶주리며 전국에서 피란 온 사람들을 넉넉히 품어 안았던 그 시절의 포용력을 다시 떠올려 사람들이 몰려오는 곳으로 만들어 보자는 것이다. 또 이곳에도 예외 없이 재개발의 바람이 불고 있지만 원주민을 내모는 방식보다는, 아직 끈끈한 이웃 간의 정을 살리는 인간중심, 마을중심의 도시 재생을 해 보자는 것이다. 공간, 문화, 생활재생을 기치로 한 주민중심의 마을 만들기다.

이제 이 지역 주민을 중심으로 스스로 일어서려는 ‘자력수복형’의 르네상스 사업에 국가는 진지하게 답해야 한다. 부산은 국가존망의 위기 때 국가와 피란민을 감싸안았다. 그러나 그로 인해 도시계획은 엉망이 되고, 원도심의 쇠락은 감당하기 어려운 지경에 이르렀다. 국가는 이를 잊지 말아야 한다. 부산의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과 주민중심의 마을만들기 운동에 국가가 대답해야 할 명백한 이유다.
2011-03-22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