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론] 남북한이 함께할 일이 너무 많다/김중위 전 국회의원 전 환경부장관

[시론] 남북한이 함께할 일이 너무 많다/김중위 전 국회의원 전 환경부장관

입력 2011-04-19 00:00
업데이트 2011-04-19 00: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백두산이 활화산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우려 속에서 열린 남북한 화산문제 전문가들의 공동회의는 여간 보기 좋은 모습이 아니었다. 일본이 지진피해로 몸살을 앓는 시점이어서 시기적으로도 적절한 의제였다고 여겨진다.

이미지 확대
김중위 전 국회의원·전 환경부장관
김중위 전 국회의원·전 환경부장관
첫술에 배부를 수는 없는 일이기에 특별한 결론을 얻지 못했다고 하여 실망할 일도 아니다. 북한이 자연재난 문제에 대한 남북 전문가회담을 제의한 것만으로도 남북관계 측면에서는 크게 환영할 일이기 때문이다. 남북의 전문가들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해야 할 일이 어찌 백두산 화산문제 하나뿐이겠는가. 어차피 우리는 역사공동체이자 민족공동체이고 환경공동체이다. 영토 문제에서부터 환경 문제에 이르기까지 공동으로 연구해야 할 과제는 과장해서 말하면 모래알만큼이나 많다고도 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역사와 영토문제에 대한 공동연구는 통일한국의 미래를 위해 한시도 게을리할 수 없는 민족적인 과업이 아닌가 싶다.

중국의 동북공정 문제부터가 바로 그러한 과제라 할 것이다. 우리의 역사가 중국에 의해 왜곡되고 변조된 지가 벌써 10여년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 “고구려사를 중국역사라고 주장하는 것은 영국 아서왕의 카멜롯 성(城)을 독일의 성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라고 말한 사람은 우리가 아니었다. 뜻밖에 영국의 더 타임스 기자였다. 탄복할 만큼 기발한 비유다. 영국의 언론마저 고구려가 우리 땅이었다는 사실을 극명하게 설명해 주는 현실에서 우리가 공동대응을 하지 못한다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다행히도 중국의 역사 왜곡에 대한 저항의식은 우리에게뿐만 아니라 북한 학자들에게도 있다는 사실이 얼마나 우리를 위로해 주고 있는지 모른다. 북한의 ‘사회과학원 역사연구소’의 조희승 교수는 중국역사책 어느 것을 보더라도 고구려는 조선사에 속하는 나라라고 되어 있는데, 고구려사가 중국사라면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고전들을 모조리 부정하자는 것이냐고 반문한다. 그러면서 그는 중국의 논리대로라면 왜(倭), 북적(北狄·대략 지금의 몽골), 서융(西戎·대략 지금의 티베트), 남만(南蠻· 대략 지금의 베트남)도 중국사에 속하는 것이냐고 격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처럼 고구려사에 대한 북한의 인식이 우리와 다름이 없다면 중국의 동북공정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남북의 공동노력은 아주 손쉽게 이룰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간도 문제 역시 남북이 함께 연구해야 할 장기과제가 아닐 수 없다. 중국이 범정부적으로 동북공정에 집착하는 이유도 어쩌면 훗날에 생길지도 모르는 간도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가 없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그렇다면, 훗날에 대비하기 위해서라도 간도 문제를 비롯한 과거의 우리 영토에 대해서는 남북이 공동으로 연구할 필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간도는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되는 고조선시대부터 우리의 영토였다. 그런 지역에 대한 공동연구가 없다는 것은 어쩌면 한국역사에 대한 정체성을 우리 스스로 훼손하는 것이고, 나아가서는 통일한국의 영토에 대한 포기선언과 다름없지 않은가 싶다.

남한이건 북한이건 역사적으로 우리의 영토로 있었던 지역은 그것을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건 아니건 모두 우리 민족 고유의 영토로 보아야 한다. 외국으로부터 어느 한쪽이라도 영토문제로 외교적 시비가 걸려 온다면 남북한이 함께 대응해야 할 책무가 있는 것이다. 독도가 그러하고, 대마도가 그러하고, 중국과의 국경문제가 그러하다.

독도를 자기네 영토라고 잠꼬대처럼 되뇌고 있는 일본에 대해 북한이 앞장서서 “독도를 일본의 다케시마라고 주장하는 것은 중국의 만리장성이 일본의 동북지역에 있는 산성이라고 주장하는 것과 같다.”라고 반박한다면 얼마나 좋을까 싶어서다. 역사문제나 영토문제나 환경문제나 재난문제에는 지금부터라도 남북이 함께 공동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급선무다.
2011-04-19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