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금&여기] 왜 트위터에서 특종을 하지?/김민희 체육부 기자

[지금&여기] 왜 트위터에서 특종을 하지?/김민희 체육부 기자

입력 2011-07-16 00:00
업데이트 2011-07-16 00:3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민희 체육부 기자
김민희 체육부 기자
어느 선배가 그랬다. 기자에게 부서 이동은 이직과 같다고. 캐묻고 글 쓰는 건 어딜 가나 똑같지만 출입처가 달라지면 인생도 달라진다. 경제부에 있다가 올 초 체육부로 옮겨 온 나도 그랬다. 40대에 넥타이 맨 은행원과 금리를 논하다가 땀에 젖은 20대 운동선수에게 승리 소감을 물어보는 건 정말이지 또 다른 인생을 사는 기분과 비견될 정도의 큰 변화였다. 여기에 한 가지 더 놀라운 게 있었으니, 바로 기자들의 ‘트위터 정치’다.

스포츠판에 와 보니 종목을 가릴 것 없이 많은 기자들이 트위터를 활발하게 하고 있었다. 기사로 미처 풀어내지 못한 소소한 이야기들을 들려 주거나 팬들이 궁금해하는 걸 대신 물어봐 주기도 하면서 독자와의 소통 창구로 트위터를 톡톡히 활용했다. 트위터를 통해 트렌드도 접하고 기사 아이디어를 얻기도 하는 나로서는 반가운 일이었다. 그런데 가만 살펴보니 양상이 좀 달랐다. 일부 기자들은 트위터를 통해 유명 선수와의 친분을 과시했다. 프로필에는 당연히 그 선수와 다정하게 찍은 사진이 올라 있다. 선수들과 의미 없이 나눈 잡담도 일일이 트위트한다.

선수들의 모든 것을 알고 싶어 하는 팬들은 당연히 이런 기자들을 팔로하고, 팔로어가 늘어나면 이 기자의 지명도도 덩달아 확장된다. 때로 자신이 취재한 내용을 기사로 쓰지 않고 먼저 트위터에 올리거나, 자신이 쓸 기사에 대해 은근히 ‘떡밥’을 날리는 경우도 봤다.

이건 좀 아니다. 스포츠판이라고 해서, 소셜미디어 트위터라고 해서 저널리즘의 원칙이 달리 적용되는 건 아닐 터다. 취재원과 너무 가깝게도, 너무 멀게도 지내지 말라는 룰은 분명히 이유가 있어서 만들어졌다. 기자는 취재원과의 친분을 이용해 호가호위하는 자리도 아니다. 기자는 무엇보다 기사로 말해야 한다는 건 선배들로부터 배운 철칙 중 하나다. 트위터에선 무슨 말이든 할 수 있지만 기자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면 얘기는 달라진다. 같은 일을 하며 밥벌이를 하는 동료를 비판하는 마음이 편하지는 않다. 하지만 아닌 건 아닌 거다.

haru@seoul.co.kr
2011-07-16 26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