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지조(志操) /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지조(志操) /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4-27 00:00
업데이트 2012-04-27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원칙과 신념을 굽히지 않고 지켜나가는 꿋꿋한 의지나 그런 기개를 뜻하는 지조(志操)는 시대에 따라 의미가 좀 다르다. 옛날의 지조는 선비나 양반들에게는 더할 나위 없이 필요한 덕목이었지만 요즘은 구시대의 유물 정도로 치부된다. 너무 지조를 언급하면 고지식하고 융통성이 없는 사람으로 인식된다.

중국에서 지조는 백이숙제(伯夷叔齊)로 통한다. 중국 주(周)나라의 전설적인 형제 성인으로, 주나라 무왕이 은나라를 멸하자 은나라 백성이던 백이와 숙제가 그 일을 부끄럽게 생각하고 주나라 곡식을 먹지 않겠다며 수양산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먹다 굶어 죽었다는 얘기다. 중국 후한 시대 촉한의 왕인 유비의 동생 관우, 유비의 삼고초려를 받아들인 제갈량 등도 지조를 지킨 부류에 속한다.

우리나라에선 조선 전기 집현전 학자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 죽은 사육신의 한 명인 성삼문(成三問)이 그런 반열에 든다. 단종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르자 수양대군(세조)이 계유정난을 일으켜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다. 성삼문은 두 임금을 섬길 수 없다며 단종 복위를 꾀하다 붙잡혔다. 세조가 자신의 녹을 먹으면서 왜 반역을 도모했느냐고 묻자 성삼문은 “녹을 받은 건 모두 쓰지 않고 보관했다.”고 했다. 그는 “이 몸이 죽어 가서 무엇이 될꼬 하니/봉래산 제일봉에 낙락장송되어 있어/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 청청하리라.”라고 읊었다. 그의 충절은 지금도 회자된다.

고려 학자 정몽주는 이방원이 ‘하여가’라는 시를 읊으며 자신의 마음을 떠보자 ‘단심가’로 정중히 거절했다.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청록파 시인인 조지훈(趙芝薰)은 지조론(志操論)에서 “지조라는 것은 순일(純一)한 정신을 지키기 위한 불타는 신념이요, 눈물 겨운 정성이며 냉철한 확집(確執)이요, 고귀한 투쟁이기까지 하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이상득 의원이 그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의 오찬에서 “박 위원장이 훌륭한 리더십을 발휘해 총선을 승리로 이끌었다….”고 발언한 데 대해 같은 당 이재오 의원이 “사람이 젊어서는 명예를 소중히 여기고 늙어서는 지조를 소중히 지켜야 한다.”고 반박했다. 이상득 의원과 이재오 의원의 발언을 두고 설왕설래할 수는 있겠지만 큰일을 하겠다는 정치인들이라면 자신이 아닌 국민을 위해 절개 있고 기품 있는 지조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우리 국회에 그런 의원이 과연 몇명이나 될까.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4-27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