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명태/임태순 논설위원

[씨줄날줄] 명태/임태순 논설위원

입력 2012-05-19 00:00
업데이트 2012-05-19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춘태, 추태, 백태, 에프(F)태…. 모두 명태를 가리키는 말이다. 명태는 동해안의 대표 수산물이자 대표적인 국민 먹거리다. 봄철에 잡은 것이 춘태고 가을에 잡은 건 추태다. 눈 속에서 말리다 추워 하얗게 된 게 백태고 기계로 말린 최하품의 명태가 에프태다. 명태는 다양하게 불려 가히 ‘이름 백화점’이라 할 만하다. 갓 잡은 생태, 얼린 동태, 말린 북어, 눈 속에 바람 맞혀 말린 황태는 우리가 익히 아는 것들이다. 명태는 잡힌 상태, 시기, 장소, 가공 방법에 따라 40여개의 이름으로 불린다. 이름이 많은 것은 우리와 친숙하고 쓰임새가 많기 때문이다. 먹거리만 해도 시원한 생태탕, 술꾼들의 속을 풀어 주는 북엇국에다 코다리찜, 명태조림, 명태전, 창난젓과 명란젓 등 열 손가락을 꼽고도 남는다.

명태는 조선시대 명천(明川) 지방에 사는 태(太)씨 성의 어부가 처음 잡아서 명태(明太)라고 불렸다지만 본명은 북어(北魚)다. 원산 앞바다가 대표적 산란지여서 원산 말뚝이라고도 한다. 명태는 먹거리는 물론 관혼상제나 무속, 속담 등 우리 생활에도 깊숙이 연결돼 있다. 고사를 지내고 난 뒤 가게나 이사한 집의 문 위에 북어를 걸어 놓는 것은 물고기처럼 눈을 뜨고 밤에도 잡귀나 액운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감시하라는 뜻이다. 또 액땜의 용도로 사용되는 게 북어이고, 똑같은 것을 놓고 서로 다툴 때 쓰는 속담 ‘명태니 북어니 한다.’는 말도 귀에 쏙 들어온다. 명태는 시와 가곡으로도 환생해 우리를 즐겁게 한다. 양명문의 시에 변훈이 곡을 붙인 명태가 바로 그 것이다. ‘어떤 가난한 시인의 안주가 되어도 좋다’고 한 명태는 1950년대 처음 발표됐을 때는 객석에서 뭐 이런 노래가 있나 할 정도로 혹평을 받았다. 하지만 80년대 들어 풍자적이고 해학적인 시구를 음악적으로 잘 전달한 것이 뒤늦게 평가를 받아 입에 오르게 됐다.

그러나 명태가 동해안에서 사라진 지는 꽤 됐다. 지구 온난화로 냉수성 어종인 명태의 남방분포 한계선이 북상한 데다 새끼 명태인 노가리까지 싹쓸이했기 때문이다. 강원도 해양심층수 수산자원센터와 고성군, 강릉원주대가 동해 명태 살리기 프로젝트를 재추진하고 있다. 일본 홋카이도 등지에서 어미 명태와 수정란을 공급받아 새끼 명태를 생산하겠다는 계획이다. 명태는 ‘짝짝 찢어져 내 몸은 없어질지라도/내 이름만 남아 있으리라/명태 헛 명태’라고 자못 의연한 태도를 보였지만 그러기엔 상황이 너무 급박하다. 사업이 성공해 동해안에서 노가리가 풍성해지길 바란다.

임태순 논설위원 stslim@seoul.co.kr

2012-05-19 27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