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바다 장례/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바다 장례/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2-06-21 00:00
업데이트 2012-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의 죽음에 대한 관념은 종교와 지역을 넘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이 때문에 각 나라의 장례문화가 각양각색인 건 당연한 일이다. 정도의 차이는 있겠지만 장례의식을 즐거운 행사로 치르는 곳도, 슬프게 진행하는 곳도 있다. 자신의 신체 일부를 찌르거나 뭉둥이로 머리를 내리치며 애도하는 예도 있다.

장례를 의식으로 치른 최초의 흔적은 시신 위에 꽃이 놓여 있었던 게 발견된 신석기시대로 전해진다. 최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선사시대인 기원전 3100년 무렵 영국 월터셔의 솔즈베리 인근에 세워진 선돌 구조물인 스톤헤지가 거대의 축제장소이자 장례의식이 행해진 대표적인 곳으로 알려져 있다. 이후 고대국가가 출현하면서 피라미드, 진시황릉, 고인돌, 장군총 등 통치자의 무덤이 생겨났다.

장례 방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종교다. 불교의 전통 장례방식은 화장으로 ‘다비’라고 한다. 장작 위에 시신을 안치하고 종이로 만든 연꽃 등으로 가린 후 불을 놓아 화장한다. 기독교는 각 교파별 의식에 따른 장례를 성직자가 집전한 뒤 시신을 매장하고 묘비를 세우는 예가 많다. 화장이 기독교의 부활 교리에 어긋나지 않는다고 해서 최근에는 화장도 장례의 한 방법으로 존중받는다. 고대 유대교에서는 기원전 8세기 이후 부활 교리의 영향으로 동굴에 시신을 모신 뒤 시체가 썩으면 유골을 관에 담았다. 실제로 마태복음에는 로마제국의 공권력에 의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은 예수의 시신을 아리마대 사람 요셉이 자신의 동굴 무덤에 모셨다는 얘기가 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 정착된 유교문화의 영향으로 매장 의식이 강했다. 그러나 묘지가 부족한 데다 관리가 쉽고 위생적이라는 인식이 퍼져 지금은 화장이 대세로 굳어지고 있다. 지난해 전국 화장률은 67.5%로 2000년(33.7%)의 두 배를 넘어섰다. 토지가 모자라는 일본은 화장이 일상적인데, 49재 문화가 존재하는 게 우리와 비슷하다. 중국은 당나라 시기 불교의 영향으로 화장이 확산되었으나 이후 매장 문화가 일반적이다. 미국은 주로 매장을, 영국 등 유럽은 화장을 많이 한다.

정부가 앞으로 화장을 해서 납골당이나 납골묘에 보관해야 하는 유골을 바다에 뿌릴 수 있도록 하겠다고 한다. 그동안 환경 오염 등의 우려가 있었지만, 육지에서 5㎞ 이상 떨어지고, 양식장 등이 없는 곳에서만 허용한다는 것이다. 정부가 모처럼 수요자 중심의 정책결정을 내린 것 같아 박수를 보낸다. 화장문화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는 계기가 됐으면 싶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2-06-21 3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