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이매망량 일본/육철수 논설위원

[씨줄날줄] 이매망량 일본/육철수 논설위원

입력 2012-09-13 00:00
업데이트 2012-09-1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매망량(魑魅魍魎)에서 ‘이매’는 산 속의 요괴를, ‘망량’은 물속의 괴물을 일컫는다. 따라서 이매망량은 온갖 도깨비나 귀신이라는 뜻이다. 이 말은 ‘사람들에게 해악을 끼치는 인간’ 또는 ‘어처구니없이 허무맹랑한 사람’을 비유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출전은 춘추좌씨전이다. 중국 춘추시대 초(楚)나라 장왕이 주(周)나라의 대부 왕손만에게 주 왕실이 갖고 있는 정(鼎, 솥)의 크기와 무게에 대해 물었다. 당시에 솥은 왕권을 상징했다. 장왕의 질문에는 쇠락하는 주나라를 삼키겠다는 야욕이 숨어 있었다. 이를 눈치챈 왕손만은 “솥의 크기와 무게가 아니라, 덕(德)이 있느냐 없느냐가 중요하다.”고 대답했다. 또 솥의 용도에 대해 “온갖 사물을 (솥에) 새겨 백성들에게 신령스러운 것과 간악한 것을 구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라며 “백성들이 물에 들어가거나 산에 가서 해로운 것을 피할 수 있고, 온갖 귀신 도깨비들과 마주치지 않을 수 있습니다(故民入川澤山林不逢不若, 魑魅魍魎, 莫能逢之).”라고 설명했다. 고사성어 이매망량은 여기서 생겨났다.

별로 좋은 뜻도 아닌 이매망량이란 성어가 그제 홍콩인들의 대일(對日) 항의 시위 때 큼지막한 피켓용 글씨로 등장했다. “일본은 도깨비 귀신”이라는 것이다. 홍콩인들은 일본 총영사관 앞에서 센카쿠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를 국유화하겠다는 일본 정부의 방침에 거칠게 항의하면서 이 피켓을 높이 쳐들었다. 그들은 일본의 행위가 허무맹랑하고, 일본이 중국에 해악을 끼치는 요괴 같은 나라라고 세계에 알리고 싶었던 것일까.

중국인들은 사악하다고 여겨지면 귀신에 곧잘 비유한다. 청나라가 서양 열강의 침략으로 흔들릴 때 ‘양귀자’(洋鬼子, 서양 귀신)라는 표현이 유행했었다. ‘대지’의 저자 펄 벅은 중국에서 어린 시절을 보낼 때 ‘노랑머리 귀신’이란 별명을 늘 달고 살았다고 한다. 홍콩인들이 이번 항일 시위에서 귀신(鬼) 글자가 4개나 들어간 고사성어를 들고 나왔으니 엄청나게 화가 났다는 뜻일 게다.

중국은 이번 사태에 대해 “2차 대전 후 가장 적나라한 도전”이라며 대일 강경노선을 예고했다. 무력충돌은 몰라도 조만간 경제보복 정도는 불사할 듯한 기세다. 일본 정부는 그제부터 자국 신문에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광고까지 실어 우리를 또 자극했다. 동북아에서 영토문제로 좌충우돌하는 일본을 보면 옛날 중국도깨비 ‘소’(魈)가 떠오른다. 외발로 뒷걸음치며 불안하게 걷는 모습이 꼭 닮았다.

육철수 논설위원 ycs@seoul.co.kr

2012-09-13 31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