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방시대] 근대건조물 보호 시급하다/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지방시대] 근대건조물 보호 시급하다/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입력 2012-09-18 00:00
업데이트 2012-09-18 00: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김형균 부산시 창조도시본부장
한 도시의 역사는 그 도시의 건조물에 녹아 있다. 야스퍼스가 얘기하는 ‘존재의 집’으로서의 의미뿐만 아니라, 르페브르가 얘기하는 ‘기억의 형상화된 공간’으로서 도시 건조물의 의의는 도시주민뿐만 아니라 방문객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겠다. 그런데 그 건조물들은 도시의 변화무쌍한 흐름만큼이나 명멸의 운명을 직접적으로 겪고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 한국전쟁, 급격한 산업화 등 격변의 근·현대사를 거쳐 온 우리나라에서 근대시기에 만들어진 건조물들은 원형 보존 자체가 힘들었다.

특히 서민들의 생활상을 반영하는 생활건축물의 경우 더더욱 그 원형 보존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다. 국보나 보물에 가까운 사적이나 명승지 등은 국가적 관심 아래 관리가 되고 있고, 시·도에서 지정한 유형문화재 등은 자치단체가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관리 유지 및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관리의 틀 바깥에 있는 오래된 서민주택이나 공공건조물들은 무방비상태로 방치돼 있다.

우리가 흔히 근대 건조물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근대 개항 이후 유지되어 온 주거·교육 등의 건축물, 철도·수도·항만 등의 산업구조물, 시장·공원 등 생활문화유산, 역사유적·생가·활동 근거지 등의 인문유적 등을 지칭한다. 이러한 근대 건조물의 중요성은 그 도시의 역사를 표현하는 중요한 상징물일 뿐만 아니라 삶의 표상이기 때문이다. 더군다나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최근 도시 발전 추세에 비추어 보면, 다양한 스토리텔링의 원천이 바로 근대 건조물에서 비롯되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부산은 219개소의 근대 건조물이 지역 내에 산재해 있다. 주거시설이 주로 많지만, 지역 특성을 반영한 항만시설이라든지 종교시설 등 독특한 건조물들이 꽤 있다. 그러나 이들 대부분 시설이 낡은 채로 방치되거나, 심각한 원형 훼손 등의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최초의 창고였던 남선창고는 이미 헐려서 슈퍼마켓으로 쓰이고 있고, 한국 첫 유치원인 부산유치원도 2007년에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부산시는 방치된 건물의 발굴 보호 등을 위해 2010년에 근대 건조물 보호 조례를 만들었다. 현재 이들 건조물을 역사적·예술적·건축적 보전 및 활용가치 측면에서 세밀히 분류해 보전 및 보호하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그중 일차적으로 6개소를 최근 근대 건조물로 지정하였고, 27개소를 후보대상으로 선정했다.

영국의 요크시 같은 경우는 문화유산재단을 통해, 일본 요코하마시는 문화예술창조공간으로, 미국의 시애틀은 거리박물관 프로젝트를 통해 체계적 관리에 힘쓰고 있다. 여기에 지방자치단체뿐만 아니라 중앙정부의 세심한 배려가 요구되는 부분이 있다. 즉, 중요한 건조물들은 국가지정문화재나 등록문화재로 국가가 관리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건조물 소유주들이 이러한 문화재의 틀 속에 편입되기를 꺼리는 실정이다. 이는 일정 규모 이상을 수리할 시에 수리비 지원은 받으나 그에 따른 간섭이 싫어서일 것이다. 따라서 지금은 간섭을 최소화해서 시급히 근대 건조물을 제도적 보호의 틀 안에 편입시키는 것이 급선무다. 이에 대한 중앙정부의 세심한 재정적·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

2012-09-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