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기고] 장마철 복병, 감전사고/조성완 소방방재청 차장

[기고] 장마철 복병, 감전사고/조성완 소방방재청 차장

입력 2013-07-10 00:00
업데이트 2013-07-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성완 소방방재청 차장
조성완 소방방재청 차장
요즘 비가 오면 형형색색의 레인부츠를 신고 다니는 사람들을 자주 볼 수 있다. 신기하기도 하고 멋있어 보인다. 직업은 못 속인다고, 감전 사고에도 안전할 것 같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우리 심장은 우심방의 동방결절(洞房結節)이라는 근육에서 0.8초 간격으로 전기를 발생시켜 움직이고 있다. 이처럼 전기는 우리 생명과 매우 관계가 깊다. 하지만 순간적으로 과부하의 전기 충격을 받으면 부상을 입거나 심한 경우 목숨을 잃기도 한다. 감전 사고는 여러 요인이 있지만 집중호우나 태풍이 많이 오는 시기에 발생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최근 5년간 269명이 감전 사고로 사망했는데 이 중 40.5%(109명)가 우기인 7~8월에 사고를 당했다. 지난 2009년 7월 전남 광양시에서 폭우로 침수된 철판가공 공장에서 물을 빼려고 양수기 전원을 켜려다 감전으로 1명이 사망했다. 2005년 6월에는 부산과 인천에서 집중호우로 물이 고인 맨홀 뚜껑을 밟아 감전사고로 4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지난 2001년 7월에는 수도권 집중호우로 가로등·신호등이 물에 잠기는 바람에 근처에 있던 19명이 사망하기도 했다.

올 7~8월의 기상도 예년과 같이 고온다습하고 집중 호우 등이 전망되어 감전 사고에 대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장마철에는 습기가 배선 사이로 스며들어 누전이 자주 발생한다. 우선 집안의 가전제품과 옥외로 노출된 전선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몸이 젖는 경우가 많아 작업장에서도 감전사고가 일어날 확률이 높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장마철 전기사고를 예방하려면 장소에 관계없이 필수적으로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한다. 특히 비를 동반한 강풍이 예고되면 각 가정이나 상가, 작업장에서는 주변을 점검해야 한다.

침수지역에서는 맨홀 뚜껑으로 인한 감전사고도 빈번하게 일어나 물이 고인 맨홀 뚜껑에서 최대한 멀리 떨어져 다니는 것이 안전하다.

장마철 감전 사고는 자칫하면 2차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실제로 작업장에서 감전된 동료를 구하려다 119구조대원까지 함께 감전되는 사고가 가끔 있다. 이러한 2차 사고를 막기 위해서는 먼저 전기와의 접촉을 차단해야 한다. 또한, 감전 사고의 경우 겉으로는 보이지 않아도 몸 안쪽에 화상을 입는 경우가 있으니 바로 병원으로 후송해야 한다.

곧 여름 휴가철이 시작된다. 피서지의 음식점이나 야영장은 임시배선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서지에서는 누전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전기시설 관리기관에서는 집중호우·태풍 발생 전에 안전점검을 실시하여 필요시 긴급히 보수해야 한다. 폭우 시 침수지역은 가급적 우회하고 주변에 감전 위험이 있는 시설이 발견되면 즉시 119와 한국전력(전기고장번호 123)이나 한국전기안전공사(1588-7500)에 신고, 안전점검을 받도록 하여 감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생활의 지혜도 필요하다.

이제 본격적인 장마철에 접어들었다. 올여름 장마철에는 국민 모두가 감전 사고에 대한 관심과 국민행동요령을 숙지하여 단 한 건의 감전사고도 없기를 기대해 본다.

2013-07-10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