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생명의 窓] 세포막을 통해 본 열린 소통의 지혜/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생명의 窓] 세포막을 통해 본 열린 소통의 지혜/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입력 2013-09-07 00:00
업데이트 2013-09-07 00: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야의 대치가 계속되면서 소통(疏通)의 장인 국회를 벗어난 야당의 장외투쟁이 장기화되고 있어 이를 보는 국민들은 답답하기만 하다. 이러한 불통(不通)의 현상이 어디 국회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일까?
이미지 확대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김진 가톨릭의대 해부학교실 교수


국가와 국민 사이, 사회와 그 구성원 사이, 더 나아가 가정에서는 부부 사이는 물론 부모와 자식 간에도 소통이 잘되지 않아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이 커지기도 한다. 서로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마음으로 소통하여 모두가 윈윈할 수 있는 그런 아름다운 나눔의 사회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사회나 조직이 유지되기 위해서 사람들 간의 소통이 필요하듯이, 사람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 간에도 소통이 필요하다. 우리는 세포를 생명의 기본요소라고 부르지만, 세포 하나하나는 생명 그 자체라 할 수 있다.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각자의 역할을 성실히 수행한 결과이다. 인체의 장기를 소화계·호흡계·순환계 등 기능적으로 분류하듯이, 우리 몸을 구성하는 60조~100조개의 세포를 기능적으로 분류하면 200종류가 넘는다. 하나의 수정란으로부터 이처럼 다양한 기능을 하는 수많은 세포가 생성되는 그 자체만으로도 놀랍지만, 더욱 경이로운 사실은 그 모든 세포들이 컴퓨터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과정을 통해 서로의 정보를 교환하고 소통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정란이 처음 분열하여 두 개의 세포로 되는 시점부터 태아의 머리와 꼬리의 방향성이 결정되고, 이후 분열이 계속되면서 태아가 될 부위와 태반이 될 부위, 각 장기가 될 부위 등이 한 치의 착오도 없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위치에서 결정된다.

즉, 정자와 난자로부터 물려받은 유전 정보와 분열된 세포들 간의 소통을 통해서 아기의 피부색, 모발의 형태, 신장 등은 물론이며 어느 정도 머리가 좋을 것이며, 어떤 재능을 가질 것인지, 또 어떤 질병에 걸리기 쉬울 것인지까지도 결정되는 것이다.

세포들은 세포막에 있는 소통 장치에 전해진 호르몬이나 신경전달물질의 특성에 맞게 적절히 반응함으로써 자신이 갖고 있는 역할을 하게 되며, 인체를 구성하는 모든 세포들이 신호를 주고받는 원활한 소통을 통해 각자에게 주어진 기능을 발휘할 때 비로소 인체는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요즈음 신문을 보면 전쟁, 내란, 모략 등의 험한 용어들이 지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국가, 국회, 정당은 물론 학교나 가정 등 사람들 간의 관계를 통해 구성된 집단이 제 역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그 집단을 구성하고 있는 사람들이 서로를 배려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역할을 다해야 한다.

인체를 구성하고 있는 각기 다른 기능을 하는 천문학적인 수의 세포들이 세포막을 통한 소통으로 조화로운 생명현상을 유지하도록 애쓰고 있지만, 정작 이러한 소통의 산물인 인간들은 오해, 갈등과 다툼을 일상화하고 있으니 참으로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답답한 마음을 달래려 쪽빛 하늘을 바라보다 갑자기 소크라테스의 격언이 떠오른다. 어쩌면 “너 자신을 알라”는 말은 자신의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보여주고 있는 소통의 지혜를 본받으라는 말이 아닐까?

2013-09-07 2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