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글로벌 시대] 다양성 속의 조화/정해문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글로벌 시대] 다양성 속의 조화/정해문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입력 2014-04-28 00:00
업데이트 2014-04-28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해문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전 주태국·그리스대사
정해문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전 주태국·그리스대사
동북아 지역 협력의 장애요인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동북아 역시 ‘다양성 속의 조화’를 기치로 유럽연합과 아세안이 걸어온 길로 나아감으로써 소위 ‘아시아 패러독스’를 뛰어넘어 평화, 안정 및 번영의 21세기 세계 질서 창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동북아 국가들 간의 다양성을 갈등의 씨앗이 아니라 조화로운 협력의 자산으로 바꿀 수 있는 혜안과 창의적 리더십이 요구되고 있다.

일찍이 공자는 군자화이부동(君子和而不同·군자는 화합하되 개성을 살림) 덕목을 설파했다. 오늘날 국제관계에 있어서 대단히 중요한 가치로 자리매김한 ‘다양성 속의 조화’ 필요성을 예견한 말이다. 창세기 이래 인류는 서로 ‘다름’이 상존하는 환경에서 이질적 요소를 포용하면서 더불어 사는 방법을 터득하기 위해 고뇌의 여정을 계속해 왔다.

인류 역사는 다양성의 기초 위에서 조화로운 협력을 추구했을 경우에는 공동의 발전을 이룬 반면 그렇지 못한 때에는 세계가 전란의 소용돌이에 빠져들게 되었음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유럽의 100년 전쟁과 30년 전쟁 그리고 1, 2차 세계대전도 넓게는 유사한 맥락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다양성 속의 조화’는 오늘날 국제협력과 지역협력을 이끌어 가는 중요한 모토가 돼 가고 있다. 유엔은 상이한 국가이익과 어젠다를 가진 193개 회원국들로 구성돼 상충될 수 있는 이해관계를 조율하면서 ‘다양성 속의 조화’를 추구하는 대표적 지구촌 공동체라고 할 수 있다. 2001년 채택된 유네스코 문화다양성 선언은 “문화다양성과 관용과 대화와 협력을 존중함으로써 세계 평화와 안보가 확실하게 보장된다”고 힘주어 말하고 있다.

국제정치학자들은 1945년 이후 현재까지를 인류역사상 가장 오래 평화가 지속되고 있는 시기로 진단한다. 국지전은 있었지만 대규모 전쟁은 인류의 지혜로 방지해 왔다는 것이다. 과거의 불행했던 전철을 밟지 않아야 되겠다는 다짐 중 하나가 지역협력의 심화로 구체화됐다. 2차 대전 이후 가장 성공적인 지역협력 모델로 평가받고 있는 유럽연합과 아세안은 공히 ‘다양성 속의 조화’를 중심 가치로 내세워 어제의 갈등과 대결을 뒤로하고 공동체 가꾸기에 전력투구해 온 결과 오늘날 여타 지역의 부러움을 사고 있다.

전후 유럽의 평화와 번영에 결정적 기여를 한 유럽연합은 28개 회원국들 간의 문화·전통 및 언어 등 차이를 다양성으로 수용함으로써 보다 더 성숙하고 융성한 통합유럽을 만들어 가고 있다. 터키와 세르비아 등이 신규 회원국으로 가입하면 다양성을 더욱 확충시켜 마치 이민 문호를 활짝 여는 것처럼 공동체 전역에 걸쳐 활력을 불러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바로 우리의 이웃 아세안은 어떤가. ‘다양성 속의 조화’를 핵심 가치로 신봉하면서 지역협력을 꽃피우고 있다. 동남아의 EU를 지향하면서 2015년 말 공동체 출범 준비에 가속 페달을 밟으며 역동적인 성장을 일궈내고 있다. 아세안 시민이라는 정체성 확립에 주력하는 한편 동아시아 협력과 통합 노력을 견인함으로써 세계를 끌어들이고 있다.

마침 한·중·일 간에도 여러 채널과 레벨에서 현재의 살얼음판 같은 분위기를 타개하면서 동북아지역 협력을 점차 정상 괘도에 올려놓는 방안에 대해 다양한 의견이 개진되고 있음은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동북아는 유럽연합과 아세안의 실사구시적 접근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할 것이다. 진정한 구동존이(求同存異) 실천은 우리 몫이다.
2014-04-28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