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지금&여기] 중국에서 본 한국 과거의 데자뷔/윤샘이나 경제부 기자

[지금&여기] 중국에서 본 한국 과거의 데자뷔/윤샘이나 경제부 기자

입력 2014-05-31 00:00
업데이트 2014-05-31 01:4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윤샘이나 경제부 기자
윤샘이나 경제부 기자
얼마 전 취재차 들렀던 중국 충칭시에서 시내에 있는 신용대출회사를 방문할 기회가 있었다. 중국인 여성 상담원은 하루 평균 20여명이 대출 상담을 받으러 온다고 했다. 갓 문을 연 회사치고 그리 나쁜 성적은 아니다. ‘모르는 사람이 주는 것은 공짜 물도 안 마신다’는 중국인들이 담보도 없이 돈을 내주는 신용대출회사의 문턱을 넘은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돈을 빌리러 오는 중국인들이 혼자 오는 법 없이 꼭 가족이나 친구를 대동한다는 상담원의 말에서 아직 신용대출을 낯설게 여기는 중국인들의 모습이 보였다.

그도 그럴 것이 중국에서는 공무원이나 대기업 직원이 아니면 은행 신용대출을 받기 어렵다. 담보 잡힐 집이나 재산이 없는 시장 상인, 농민들은 그래서 사채나 계를 이용했다. 지하경제에 의존했던 이들을 제도권 금융으로 끌어낸 것이 이런 신용대출회사다.

2008년 500여개에 그쳤던 신용대출회사는 6년새 7800여개로 늘었다. 지난해 말 기준 대출금이 8191억 위안, 우리돈 133조원이 넘는다. 돈이 많은 사람과 그 돈이 필요한 사람을 연결해 주는 온라인 P2P 사이트는 800여개가 성행하고 있다.

돈을 더 쉽게 빌릴수록 생기는 문제는 돈을 더 많이, 더 쉽게 쓰게 된다는 점이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최근 기사에서 근 10년 새 돈을 벌기 시작한 중국의 젊은이들을 ‘부채세대’로 불렀다. 신용카드와 소액대출을 자유롭게 쓰면서 빚지는 것을 두려워하지 않게 된 중국의 첫 세대다. 이들의 소비습관 때문인지 중국의 가계부채도 빠르게 늘고 있다. 미국의 한 경제연구소는 중국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 비율이 2008년 30%에서 2011년 50%로 올랐다고 분석했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 초반 카드사태 때가 그랬다. 수입 없는 대학생, 무직자들에게 신용카드를 떠안겨 주자 그들의 연체가 부메랑으로 돌아왔다. 카드빚과 불어나는 대출금은 1000조원이 넘는 국내 가계부채의 큰 축이다. 중국에서는 2000년대 후반부터 확대된 신용 기반 대출과 소비가 최근에야 부채로 돌아오고 있다.

중국은 현재 국가 차원의 신용 시스템을 건설하고 있다. 개인에게 신용코드를 부여하고 금융, 납세 등 정보를 관리한다고 한다. 이제 막 본격적인 신용사회로의 전환에 시동을 건 중국에서 10여년 전 한국의 모습이 보인다. 신용이 대접받는 사회가 되면 부채 위험은 필연적인 것일까. 신용사회 중국의 앞날이 궁금하다.

sam@seoul.co.kr
2014-05-31 2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