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헬조선’ 유감을 다시 읽으며/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옴부즈맨 칼럼] ‘헬조선’ 유감을 다시 읽으며/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입력 2015-11-03 18:02
업데이트 2015-11-03 18:5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최연순 사회평론 편집이사
나는 인터넷과 스마트폰 문자 등에서 넘쳐나는 신조어나 줄임말에 무심하게 대응하려고 노력한다. 심지어는 출판계에 종사하면서도 그런 신조어나 줄임말, 어법에 맞지 않는 말들이 젊은이들을 독자로 상정했다는 이유로 버젓이 책으로 출간돼도 ‘그럴 수도 있지’ 하며 넘어갔다. 말이 좋아 기획 의도가 스마트폰 시대에 독자들의 독서 습관이나 스마트폰의 절대적 영향력을 반영한 것이지 사실 그게 어떻게 책일 수 있느냐고 말하고 싶지만 말이다. 우선 난 정서적으로 신조어나 줄임말의 대부분이 듣기 싫고 못마땅하지만 무턱대고 사용해선 안 된다고 주장할 수는 없어서 그냥 내가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고 무심하게 넘기는 걸로 나름대로 타협했다.

개인적으로 싫은 것과는 별개로 시대에 맞지 않고 공감되지 않는 말들은 사라져야 한다. 시대의 상황과 동시대인들의 마음을 반영하는 말들은 생겨나고 공감대를 형성해 필요하면 유지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소멸될 테니까. 그건 개인의 언어적 취향으로 판단할 수도 없고, 외적인 압력을 통해 막아서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더럽은 ㅂㅂㅂㄱ” “갓수 아닌 출근충”… 뭔 말이래?(10월 9일자 8면) 기사를 읽으면서도 갓수, 극협, 버카충, 월급루팡 등 신조어나 줄임말도 어떤 세대나 상황의 정서를 대변할 수도 있겠구나, 기자도 지적했듯이 의사소통에서 문제가 될 수도 있겠구나 정도만 염려가 됐다. 한글을 파괴하는 요소라고는 생각되지 않았고 오히려 어떤 신조어나 줄임말은 언어생활을 풍부하게 할 수도 있다고 생각이 멀리 갔다. 다만, 매체에서 자꾸 다루어지고 논의돼 현재 사용하고 있는 말들을 고민해 보는 건 필요한 것 같아 한글에 관한 상투적인 책임감과 당위성을 다룬 기사와는 차별돼 유용하고 적절해서 반가웠다.

하지만 기성세대로 사고가 굳었다고 많이 양보해 신조어와 줄임말이 범람하는 걸 묵인한다 해도 참기 힘든 비문들, 거칠거나 민망한 표현들, 매우 부정적인 뉘앙스를 지닌 정체불명의 말들이 온·오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을 보면 그렇게 마구잡이로 써도 되는지 염려가 된다. 언어의 기본적인 기능이 무엇인가. 사용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사고를 규정한다고 하지 않는가. 그런 말들을 사용하고, 그런 말들로 생각을 한다면 어떻게 될지 사실 아찔하다.

그래서 ‘헬조선’을 처음 들었을 때 이 단어는 무심하게 넘겨지지 않았다. ‘헬조선’ 유감(10월 9일자)이라는 칼럼도 말하듯 나도 뒤통수를 한 방 맞은 것 같았다. 그런 표현을 쓰게 된 배경과 기성세대와 정치권의 책임 등등을 고려해도 그냥 넘길 수 없는 건 앞에서도 말했듯이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의 생각과 사고를 규정짓기 때문이다.

부정적인 감정의 화살이 밖을 향해 변화를 만들지 못하고 사용하는 사람을 향하고 있다는 걸 그 말을 쓰는 사람들이 알아주었으면 했다. 또한 방송에서 버젓이 무분별하게 신조어나 줄임말이 사용되는 것에 눈살이 찌푸려졌는데 이것을 지적한 건 정말 필요했었다고 생각한다. 방송 화면에 뜨는 비문, 오탈자, 저속어 등이 사람들의 언어 습관에 어떤 영향을 줄지는 쉽게 상상할 수 있지 않은가. 이런 지적과 비판이 어쩌면 신문의 고유 기능이 아니었을까 좀 더 나아가 보기도 한다. 한 번 듣고 생각한 후 사용하는 것과 아무런 고민 없이 사용하는 건 천지차이고, 한 번 듣는 것과 두 번 듣는 것이 다를 터이니 비슷한 논의가 그저 많아지길 바랄 뿐이다.
2015-11-04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