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합리적 정부 비판 차별화…현송월 중계식 보도 아쉬워”

“합리적 정부 비판 차별화…현송월 중계식 보도 아쉬워”

이정수 기자
이정수 기자
입력 2018-01-30 17:22
업데이트 2018-01-31 01: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02차 독자권익위원회

서울신문은 30일 ‘1월 주요 현안과 이슈에 대한 서울신문 보도’를 주제로 제102차 독자권익위원회를 본사 9층 대회의실에서 열었다.
이미지 확대
30일 서울 세종로 서울신문사 9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02차 서울신문 독자권익위원회´에 참석한 위원들이 지난 한 달 사이의 서울신문 보도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30일 서울 세종로 서울신문사 9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제102차 서울신문 독자권익위원회´에 참석한 위원들이 지난 한 달 사이의 서울신문 보도에 대해 평가하고 있다. 박윤슬 기자 seul@seoul.co.kr
회의에는 박재영(건국대 정치대학 초빙교수) 위원장과 김광태(온전한 커뮤니케이션 회장), 소순창(건국대 행정학과 교수), 유경숙(세계축제연구소장), 홍현익(세종연구소 안보전략연구실장), 이나연(성신여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장), 홍영만(서울여대 초빙교수·전 KAMCO 사장) 위원이 참석했다. 다음은 지난 한 달간 서울신문 보도에 대해 독자권익위 위원들이 제기한 의견이다.

-지난해 마지막 날 1면 톱 ‘2017 가슴에 묻다’와 지난 1일 1면 톱 ‘2018 가슴을 펴라’의 제목과 사진에서 전해지는 함축적 의미가 인상적이었다. 서울신문의 올해 스타트가 좋았다. 2일자 ‘본지 부장들이 짚어 본 국내외 현안·과제’ 기획에서는 편집국 부장들의 예리한 통찰이 돋보였다. 서울신문의 1월 한 달 전체적인 논조는 새 정부가 잘못하고 있는 부분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는 특징이 있다. 그러면서도 다른 보수 언론처럼 비판을 위한 비판이 아니라 합리적인 비판이라는 점이 달랐다. 북한의 올림픽 참가 보도와 관련해 발목잡기 식으로 접근하지 않은 것도 눈에 띄었다. 다만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의 방남과 관련해서는 다른 언론과 마찬가지로 선정적인 중계성 보도가 이뤄진 것이 옥에 티였다.

-정현 기권패와 관련 ‘황제는 강했고, 정현은 아팠다’ 제목이 많이 아팠다. 조금 긍정적인 표현으로 마무리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지난주 지방균형발전과 관련해 대규모 학회가 있었는데 많이 다뤄지지 않았다. 지방 분권형 개헌은 시대적 소명이기도 하고 중요한 측면이 있다. 어떤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등에 대한 심층 취재가 필요하다.

-1월에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본 기사가 많았다. 26일자 9면 ‘“이슈 제기” “갈등 생산”… 뜨거운 국민청원’ 기사는 더 큰 지면을 통해 일반시민의 목소리를 반영했다면 좋았을 만큼 좋은 이슈를 다뤘다. 제도 시작 후 왜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는지와 반대로 세대갈등 유발 우려를 다뤄 양쪽 의견을 균등하게 잘 제시했다. 15일자 23면 ‘피겨 음악, 개최국이 들린다’ 기사는 스포츠와 예술적 요소가 결합하면 기사가 얼마나 풍성해질 수 있는지를 최근 사례까지 업데이트해 전달했다. 올해 들어 전국면, 서울in면 기사가 상향평준화된 것 같다. 25일자 12면 ‘인천 반려동물 화장장 건립 논란’ 등 지역 논란을 다룬 기사가 대표적이다.

-정현 기사를 많은 언론이 썼지만 25일자 2면 ‘숫자로 본 정현 상승세’ 기사는 많은 팩트를 담고 있어 눈여겨봤다. 서울신문이 다른 신문과 다른 서울in 지면은 좋은 전략이라고 생각하고 강화하면 좋겠지만 기사를 위한 기사가 많고 완성도가 떨어지는 것 같다. 한 달간 사진설명을 유심히 봤는데 ‘~하고 있다’는 설명이 너무 많다. 단순히 무엇을 하고 있지를 설명하기보다 발언의 중요한 정보를 써준다면 독자에게 훨씬 도움이 될 것이다.

-2일자 1면에 쓴 여론조사 기사에서는 오차범위 내 차이는 차이가 없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차이가 있는 것처럼 보도했다. 학계에서는 지지율 관련 여론조사 보도를 할 때 오차범위 내 차이가 실제 차이인 것처럼 보도하는 것을 문제 삼는다.

-30일자 4면 ‘29만곳 안전진단 제대로 되겠나’ 기사로 정부의 화재 대책을 비판한 것이 인상 깊다. 대형화재가 나면 늘 이런 식의 대책이 나왔는데 똑같은 일이 되풀이되고 있다. 그에 대한 지적이 날카로웠다. 서울신문에서 집중적인 시리즈로 단·중·장기적 로드맵을 제시해도 좋을 것 같다.

-1일자 신문 중앙에 평창올림픽 경기장별로 그림을 그려서 날짜별 구체적인 경기 일정을 보여줬다. 한눈에 들어오는 지면이 뛰어났고 어느 신문보다 정리가 잘됐다. 남북관계에 대한 논설이 9차례 나왔는데 정치권에 따끔한 충고를 하면서 여야 간 소모적인 정쟁을 하지 말라는 논조가 돋보였다.

-비트코인과 관련해 사회적 합의나 결론을 내지 못한 상황이다. 17일자 21면 ‘내 기부금 어디 쓰였나… ‘블록체인’이 기억한다‘ 기사는 블록체인 기술이 비트코인 외 다른 분야에서 쓰일 수 있다는 점을 잘 짚어줬다. 다만 좀더 밀고 나가 특정 이슈에 포커스를 맞추고 논의를 연장했으면 더 깊이 있는 기사가 됐을 것 같다.

정리 이정수 기자 tintin@seoul.co.kr
2018-01-31 29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