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옴부즈맨 칼럼] 연줄과 신평판 사회/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옴부즈맨 칼럼] 연줄과 신평판 사회/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입력 2015-03-17 18:04
업데이트 2015-03-17 18: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전범수 한양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서울신문의 또 다른 기획 뉴스 특집 ‘신평판 사회’가 제시하는 울림이 적지 않다. 현재 우리 사회가 실력이나 능력으로 평가받는 사회로의 전환을 요구받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는 그동안 인맥과 학벌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들이 능력에 우선하는 문화가 지배적이었다. 특히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특정 인맥이 주도하는 연줄 중심 사회가 강한 힘을 발휘해 왔다. 가령 매번 특정 정권을 기술하는 상징어들이 빠짐없이 등장하고 소멸해 갔다. 이는 특정 지역이나 학교, 모임 등에서 파생된 근거리 커뮤니케이션의 구조가 폐쇄적으로 기능하게 되면서 나타나게 된 부작용이었다.

연줄이 있거나 아는 사람들끼리만 소통하고 주요 의제를 결정하는 연줄 중심의 사회는 유유상종 사회, 다시 말해 끼리끼리 사회의 속성을 갖는다. 물론 신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인간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객관화된 평가와 공개된 기회 제공 등의 측면에서는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실력이 있는 인재나 가치 있는 상품 또는 서비스보다는 그렇지 않은 대안을 선택하게 되는 딜레마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사회가 갖고 있는 잠재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신평판 사회로 빠르게 전환할 필요가 있다.

신평판 사회는 최근 법안이 통과된 김영란법과도 밀접하게 연계된다. 부정부패는 공식적인 기준이 아닌 비공식적인 인간 관계를 통해 시작되고 확대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우리 사회가 제공할 수 있는 기회와 성과를 객관적 능력이 검증된 인재 기준보다는 인맥 등의 연줄을 통해 결정하게 될 때 사회의 비효율성이나 비용 규모는 늘어나게 된다. 게다가 정당하지 못한 기준이나 사람을 통해 혜택을 받은 사람들은 그 대가를 누군가에게 지불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부정부패의 네트워크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최근 인기 있는 방송 프로그램인 ‘K팝스타4’를 살펴보면 다양한 음악 분야 인재들이 등장하고 성장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는 즐거움이 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음악에 재능이 있는 사람이면 누구에게나 참가 기회가 주어진다. 참가자들은 제각기 갖고 있는 음악적 능력을 공개된 방식으로 평가받고 조언을 듣는다. 이들은 오직 실력과 재능을 통해서만 평가되고 한 계단 한 계단 성장의 문턱을 넘게 된다. 참가자나 평가자, 시청자 모두 성장하는 이들에게 환호와 사회적 인정이라는 선물을 보낸다.

개인의 사회적 평판이나 능력은 권력자와의 물리적 거리가 가깝다고 만들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또는 기득권이라는 시스템에서 재생산되는 것만도 아니다. 오히려 공개 평판 시장에서의 검증을 통해 인정되고 권위가 부여되는 것이다.

이제는 능력 있는 인재들이 다양한 사회 부문들을 주도적으로 이끌어 갈 수 있는 신평판 리더십의 사회가 필요한 시점이다. 그래야 사회 구성원들 간의 소통도 더욱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점에서 서울신문의 신평판 사회 기획은 시의적절했다. 스포츠에서부터 정치, 사회 등 다양한 분야별 능력주의의 필요성을 강조한 서울신문 기획 기사들은 더욱 가치가 있다. 다만, 해외 사례의 소개나 관련 데이터 제시 등은 추후 보완되고 추가돼야 할 부분이다. 앞으로도 계속 신평판 사회 기획이 이어지기를 바란다.
2015-03-18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