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천영우를 위한 변명과 궁금증/이지운 정치부 차장급

[데스크 시각] 천영우를 위한 변명과 궁금증/이지운 정치부 차장급

입력 2010-12-17 00:00
업데이트 2010-12-17 00: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중국의 ‘○○연구소’가 그 위력을 잃기 시작한 건 북한 때문이었다. ○○연구소는 중국의 주요 싱크탱크가 그렇듯, ‘신비주의’에 휩싸여 그 내공이나 영향력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전문가들 사이에서 상당한 힘을 지닌 기관 정도로 인식돼 왔다. 이 연구소가 북한 때문에 망했다는 것도 주지의 사실은 아니다.

이미지 확대
이지운 정치부 차장
이지운 정치부 차장
후진타오(胡錦濤) 지도부가 막 들어선 2000년대 초반, 이 연구소는 ‘북한과의 혈맹’ 관계를 강조하는 리포트를 최소 2회 이상 최상층부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진다. 하지만 당시 새 영도자의 외교 참모진은 중국의 국제적 위상에 걸맞은 ‘정상적인 외교’를 구상하고 있었고 이를 위해 북한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실제 후진타오의 외교는 줄곧 정상 외교의 길을 걸으려 노력해 왔다. 그러니 ○○연구소는 맥을 출 수 없었다. 외교의 주류들은 예산을 옥죄기 시작했고, 연구소는 망해 갔다.

이런 점에서 천영우 청와대 외교안보수석이 파악한 중국의 대북관은 틀린 게 없다. 분명 주류의 시각은 그랬고, 정책도 그렇게 움직였다. 문제는 예외적 상황이다.

2006년 10월 북한이 2차 핵실험을 단행했을 때 중국 지도부는 분노했다. 공개적으로 불쾌감을 표출할 만큼. 그래서 대단히 이례적으로 유엔의 대북 제재 결의안에도 동참했다. 그러나 북한과의 1대1 관계에서는 사뭇 달랐다. 응징 여부를 놓고도 지금까지 설이 분분하지만, ‘하다 말았다.’는 표현이 사실에 가까울 것이다. 양은 줄였을지 모르되, 적어도 공개적으로 송유관은 끊지 않았다.

그게 북·중 관계라는 걸 이제서야 절감한다. 중국의 학자·관료들이 “당신들은 사회주의 외교를 절대 이해할 수 없다.”고 할 때마다, 그 말을 왜 하는지부터 이해하지 못했다. 괜히 말이 궁해지면 하는 얘기인 줄만 알았다. 천안함이 가라앉고, 연평도가 포격을 당하고 나서야 그들이 말한 ‘사회주의 외교’의 실루엣을 본 것 같다.

위키리크스가 미국의 외교 문서를 폭로한 뒤 정부의 외교 고위 관계자도 사회주의 외교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음을 확인하고는 내심 위로를 얻었다. 그러나 ‘정부’ 역시 마찬가지였음을 보고는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천안함, 연평도 사태를 통해 정부는 이 ‘사회주의 외교’에 무지의 극치를 드러냈다.

이제 이 무지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틀린 문제는 계속 틀릴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연구소의 문제로 돌아가 보자. 상황이 바뀌어 이 연구소가 그 후로 예산이 늘어나고 복권이 됐는지 필자도 알지 못한다. 그래서 그 반대쪽을 들여다보려 한다.

중국중앙방송(CCTV)이 도움이 될지 모르겠다. 중국 외교가의 핵심 역량 중 한명으로 꼽히는 A교수. 한때 종합 1번 채널과 뉴스 4번 채널의 단골 손님이었다. 그는 최근 자기네 정부가 북한을 잘 대해주는 데 불만이 크다. 본격적인 중국의 굴기에 북한이 번번이 발목을 잡고 있다고 생각한다. 북한에 대한 지원을 아예 접어야 한다는 게 그의 지론이다. 출연이 서서히 줄어들더니 요즘 CCTV에서 얼굴을 보기 어렵다. 이른바 ‘중국의 네오콘’이라는 다른 교수들의 처지도 마찬가지다. 대신 나긋나긋하고 부드러운 말투의 신진 교수들이 그 자리를 채웠다.

필자가 아는 것은 여기까지다. ○○연구소와 A교수의 일은 지금도 궁금하다. 북한과 중국과의 관계, 이를 중국 내부의 복잡한 움직임을 이해하는 중요한 사례로 보기 때문이다. ‘보이는 것’과 ‘이뤄지는 일’이 같을 수 없다는 교훈도 던져준다. 이 같은 사례들을 놓치고 지나간다면 우리는 반드시 또다시 ‘북·중 혈맹’이나 ‘사회주의 연대’로부터 쓰라림을 곱씹게 될 것이다. 지난 15일 외교안보연구원 산하 중국연구센터가 공식 출범했다. 대중 외교를 강화하기 위한 기구라고 한다. 반가웠다. ‘○○연구소’와 북한을 둘러싸고 무슨 일이 어떻게 벌어졌는지 중국연구센터는 답을 줄 수 있을까.

jj@seoul.co.kr
2010-12-17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