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신춘문예 당선작과 동그라미 두 개/안미현 문화부장

[데스크 시각]신춘문예 당선작과 동그라미 두 개/안미현 문화부장

입력 2010-12-24 00:00
업데이트 2010-12-24 00: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고(故) 김남주 시인이 쓴 시 중에 이런 게 있다. ‘낫 놓고 ㄱ자도 모른다고/ 주인이 종을 깔보자/ 종이 주인의 모가지를 베어버리더라 //바로 그 낫으로’

이미지 확대
안미현 금융부장
안미현 금융부장
시인의 메시지를 떠나 섬뜩하다. 이미지만 놓고 보면 영화 ‘악마를 보았다’ 저리 가라다. 오랫동안 잊고 지냈던 시가 불현듯 생각난 것은 편집국 한쪽을 차지하고 있는 상자들 때문이다. 커다란 종이상자 안에 원고지들이 뭉텅뭉텅 나신(裸身)으로 뒹굴고 있다. ‘2011 서울신문 신춘문예’ 도전작들이다.

수화기 건너편의 목소리가 조심스럽다. 얼굴이 보이는 것도 아닌데 마치 표정을 들키지 않으려는 듯 꾹꾹 눌러 묻는다. 결과가 나왔느냐고. 공식 발표는 1월 1일이지만 당선자에게는 이미 개별 통보가 갔다는 응답에 가뜩이나 조심스럽던 목소리가 더 잦아든다. 툭. 힘 없이 끊어지는 전화음.

무슨 말이라도 해주고 싶지만 입 밖으로 나오는 말은 그저 “네…”뿐이다. 원고지와 싸우며 수없이 지새웠을 밤들과, 낙담으로 수없이 뒤척일 밤들이 느껴져 덩달아 맥이 빠진다. 도대체 시가 뭐기에, 소설이 뭐기에.

어지러운 생각 끝에 따라 올라온 것이 ‘낫’이라는 시였다. 단, 넉 줄. 이렇게도 시를 쓸 수 있구나, 했던 생각이 난다. 작품성을 논()하자는 게 아니다. 11년 만에 시집을 낸 최승자 시인은 “내 시(詩)는 이사 가고 있는 중”이라고 했다. 이사 갈 집이 ‘너무 시장 거리도 아니고/ 너무 산기슭도 아니었으면 좋겠’단다. ‘아예는, 다른, 다른, 다, 다른/ 꽃밭이 아닌 어떤 풀밭으로/ 이사 가고 싶’단다. 김남주 시인이 살아 있다면 그의 시도 이사 채비를 하고 있을지 모른다.

어느덧 ‘신춘문예의 달(月)’이 끝나간다. 올해는 응모작들의 수준이 두드러지게 높았다는 게 심사위원들의 얘기다. 지금 이 순간, 어떤 이는 세상을 다 얻은, 또 어떤 이는 세상을 다 잃은 느낌일 것이다. 거개는 후자(後者)이리라.

소설 부문 본심을 끝내고 은희경 소설가와 방민호 문학평론가가 뒤풀이를 가졌다. 두 사람이 전한 심사 뒷얘기. 최종으로 남겨진 작품은 세 편이었다. 한 사람에게서는 극찬을 받았지만 또 한 사람에게서는 혹평을 받은 작품이 맨 먼저 제외됐다. 남은 두 작품. 처음엔 A에 동그라미를 쳤다. 당선작으로 골랐다는 의미다. 그런데 탄탄한 전개와 안정된 문체의 B가 못내 아깝더란다. 다시 시작된 토론. 동그라미가 B로 옮겨갔다. 최종 통보를 하기 위해 문학 담당 기자를 불렀다. 그러나 그 잠깐 사이, 도발적인 문제의식의 A가 다시 눈에 밟혔다.

또 시작된 토론. “소재가 좀 파격적이지 않아요?” “아무래도 그렇죠? 왜 이런 걸 골랐지 하고 시비 걸 사람도 있을 것 같은데….” “그러게요. B를 선택하면 최소한 욕 먹을 위험은 없어 보이는데…. 그래도 요즘 같은 문단 분위기에 한번 파란을 일으킬 필요도 있지 않을까요?”

결국 A에 동그라미가 한개 더 처졌다. 2011 서울신문 신문문예 당선작에 동그라미가 두개 그려진 이유다. 흥미진진한 반전에 반전이다. 하지만 탈락자 처지에서는 모르니만 못한 얘기다.

그럼에도 이 얘기를 굳이 꺼내는 것은 그렇게 A와 B가 당선과 낙선 사이를 오갔음을, 결국 당선과 낙선은 ‘한끗 차이’임을 상기시키고 싶어서다. 적어도 본심까지 올라온 작품은 말이다. 시대가, 시가, 혹은 심사위원 성향이 ‘이사 중’이어서 낙점의 기쁨을 놓쳤을 지도 모른다. 그러니 왜 열정만 주고 재능은 주지 않았느냐며 울부짖을 필요는 없다.

요즘 문학이 위기라고들 한다. 하지만 이맘때만 되면 편집국에 수북이 쌓이는 원고 속에서 희망을 본다. 그리고 기대한다. 살리에르의 모습 대신 다시 씩씩하게 원고지, 아니 컴퓨터 자판 앞에 앉는 당신의 모습을. 아울러 이 지면을 빌려 서울신문 신춘문예의 문을 두드린 그 많은 마음에도 감사드린다.

그런데 심사위원들을 걱정시킨 문제의 그 당선작이 궁금한가. 1월 3일자 서울신문을 보시라.

hyun@seoul.co.kr
2010-12-24 30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