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울진 신한울원전 대타협을 보면서…/이동구 사회2부장

[데스크 시각] 울진 신한울원전 대타협을 보면서…/이동구 사회2부장

입력 2014-11-28 00:00
업데이트 2014-11-28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돌발성 사건이 아닌 대부분의 기사는 어느 정도 예견할 수 있다. 일간지 톱뉴스가 될 정도의 비중 있는 기사라면 더욱 그렇다. 데스크 경력이 쌓이면서 저절로 터득하는 ‘감’(感)이라 여겨진다.

이미지 확대
이동구 논설위원
이동구 논설위원
최근 울진 신한울원전 건설과 관련해 주민과 정부,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 등이 대타협을 이뤄 냈다는 기사는 미리 감을 잡을 수 없었다. 신문, 방송 등 모든 매체의 헤드라인 뉴스가 된 이 내용을 어떻게 정부 발표로 알게 됐을까? 더구나 원전 문제라면 주민과 환경단체 등의 반대가 심할 수밖에 없었을 텐데….

나름대로 이유를 알아본 결과는 우려스러운 면도 없지 않았지만, 긍정적인 측면에 점수를 더 주고 싶어졌다. 대타협의 발표 과정은 분명 서두른 측면이 엿보인다.

최근 삼척시에서 불거진 원전 건설 반대 분위기가 영덕군 등 타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자칫 1999년 이후 15년을 끌어온 신한울원전 건설 사업마저 위태로워질 지경이었다. 정부와 한수원은 더이상의 시간 끌기보다는 조속한 타협이 필요했다. 결국 울진군과의 협상에서 주민 요구 사항을 수용하는 쪽으로 매듭짓고 정홍원 총리를 방문토록 해 전격 합의를 이끌어 낸 것으로 알려졌다. 쫓기듯 서두른 협상이었다.

하지만 이번 합의로 울진군은 한수원으로부터 600억원 정도의 지역개발기금을 더 얻어 냈다. 주민들은 요구 사항을 이뤘고 정부는 원전 지역인 울진에 많은 관심을 갖고 있다는 것을 보여 줬다. 윈윈전략이 제대로 먹혔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정부는 원전 유치 지역에는 엄청난 지역발전기금이 지원된다는 점을 부각시킬 수도 있게 돼 삼척·영덕 등지의 원전 반대 여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게 됐다.

무엇보다 이번 대타협 과정에서 빛을 발휘한 것은 정부, 한수원, 지자체, 주민 등 이해 당사자 간의 ‘소통’이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울진·영덕 지역에 원전시설을 추가하겠다는 정부의 발표가 나올 당시 현장 취재를 몇 번 한 적 있다. 당시 주민들은 ‘원전’이란 말도 꺼내지 못하게 했다. 고향을 망가뜨리는 배은망덕한 일로 여기며 원전 유치에 앞장서는 주민들을 동네에서 몰아냈다. 취재기자뿐 아니라 원전 유치를 거론한 신문을 불사르고 불매 운동을 벌였다. 험악한 분위기에 지역 민심은 최악으로 치달았다. 그렇게 시간이 흘러 언론을 비롯해 대부분의 국민들은 울진에서의 원전 건설 계획이 수면 아래로 사라진 것으로 알았다.

그런데 아니었다. 정부와 한수원, 한발 더 나아가 국민대통합위원회까지 나서 15년 동안이나 지난한 주민설득 작업(소통)을 펼쳤다. 그것도 ‘열심히 일한다’며 언론에 자랑도 하지 않았고, 조용히 차근차근 협상을 진행해 왔던 것이다. 지난 21일 신한울원전의 대타협은 그래서 더 극적으로 받아들여진다.

이제 남은 과제는 정부가 약속을 제대로 지키는 것이다. 정부는 울진에 약속한 2800억원 규모의 8개 지역개발사업을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 김관용 경북지사가 “지역 개발에 대한 주민들의 여망이 합의를 이끌어 냈다”고 평가한 속내를 되새겨야 한다. 특히 정부가 잊지 않아야 할 것은 안전에 대한 믿음을 주는 것이다. 어떠한 천재지변에도 후쿠시마와 같은 사고는 일어나지 않는다는 확신을 온 국민에게 심어 주어야 한다.

yidonggu@seoul.co.kr
2014-11-28 30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