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강지원 좋은세상] 욕심없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강지원 좋은세상] 욕심없는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입력 2010-11-24 00:00
업데이트 2010-11-24 01: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간은 도대체 얼마나 소유해야 할까. 인간에게 소유의 대상이라면 대체로 먹고, 쓰고, 갖고, 얻고, 누리고 하는 것들일 것이다. 이를테면 돈·권력·지위·명예·명성·인기 등 사회적으로 획득 가능한 결과물들이다. 무소유? 그것은 처음부터 불가능한 일이다. 그것이 가능한 사회는 공동생산, 공동분배의 빨간 공산주의사회다. 성현들도 무소유 정신으로 살라고 가르쳤지, 아무 것도 갖지 아니하고 벌거벗고 살라고 가르친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무작정 소유? 아니다. 그것은 결국 수단·방법을 가리지 않고 무작정 이윤의 극대화만을 추구하는 탐욕적 자본주의의 술책에 불과하다. 그래서 성현들은 늘 욕망이 지나쳐서는 안 된다고 가르쳤다. 이는 곧 불필요한 것은 버리고 꼭 필요한 만큼만 소유하라는 ‘적정소유’를 가르치는 말씀 아닐까. 그렇다면 과연 인간에게 적정소유의 수준은 어느 정도일까.

이미지 확대
강지원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대표
강지원 한국 매니페스토 실천본부 대표
인간에게 가장 이기적인 연령이 있다면 언제일까. 갓난아이 때가 아닐까. 이때는 오로지 ‘받는 것’만 있을 뿐 ‘주는 것’은 없는 때다. 갓난아이들은 배가 고프면 무조건 운다. 그러면 어머니는 무슨 수를 써서라도 먹일 것을 찾아 먹인다. 세상의 어떤 아이가 지금 당장 배가 고픈데 엄마가 이 시간엔 피곤하시니 조금 있다가 울어야겠다고 할까. 사람의 어릴 적 소유는 이처럼 이기적 소유였다. 그후 소년기를 지나면서 점차 세상은 그렇게 일방적으로 받는 것이 아니라 ‘주고 받는 것’이라는 소유방식을 배우게 된다. 돈을 주고 물건을 사고, 일을 해주고 봉급을 받는 식이다.

그리고 청년기와 장년기에는 열심히 노력해서 소유를 늘린다. 먹고 살고 자식들 키우고 노후까지 준비하기 위해서다. 그래서 소유의 크기도 극대화된다. 그러다 노년기에는 그 크기도 준다. 쓰임새도 줄고 벌이도 준다. 소유의 적정한 크기는 이처럼 생애주기에 따라 변한다. 그런데 우리는 그 과정에서 조금이라도 더 잇속을 챙기기 위해 온갖 궁리를 해대며 산다.

돈 욕심, 물질 욕심부터 버릴 수 있으면 좋겠다. 젊어서 한참 돈벌이를 할 때부터도 지나치게 욕심을 부려선 안 된다. 제 욕심 뒤엔 반드시 누군가의 눈물이 따르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감투욕, 권력욕, 지위욕, 출세욕, 명예욕, 명성욕, 인기욕도 마찬가지다. 젊을 때는 자신의 소질과 적성을 찾아 열심히 일해야 한다. 하지만 자리까지 탐해서는 안 된다. 그런 욕심은 뒤끝이 좋지 않고 허영이기 쉽기 때문이다. 특히 고령기에는 이것들의 노욕을 경계해야 한다. 노추(醜)이기 때문이다.

사람의 일생은 끊임없는 욕구의 연속이다. 그러나 적정수준의 욕구를 넘어선 욕망과의 싸움은 어렵고도 어렵다. 나도 수없이 많은 싸움에 나섰다. 그런데도 부족하고 모자란 것이 바로 이 싸움이다. 나는 변호사 사무실을 폐쇄했다. 지금은 주로 잔무 처리만 하고 있는데, 그런 방식으로나마 욕심을 줄일 수 있기를 기대한 것이다. 내가 더 이상의 돈벌이를 포기하는 것은 젊은이들에게 일거리를 나누어 주는 결과도 된다. 아내 김영란 전 대법관이 임기를 마치고 변호사 개업을 하지 않은 데는 이런저런 뜻도 포함된 것이었다. 우리는 자동차도 없애고 걷고 지하철 타고 급하면 택시 타고 다닌다. 집도 서울권 밖으로 이사했다. 욕심을 줄이는 데 조금은 기여한 듯한 느낌을 준다.

나는 과거 검사 시절에도 승진 코스인 부장, 차장, 지청장, 검사장 자리를 한번도 안 했다. 대신 내가 원하는 청소년 업무만 찾아 다녔다. 변호사가 된 후에도 정치권의 유혹은 계속됐다. 번번이 사양했다. 그 많은 동기회, 동창회, 친목회, 심지어 경조사 다니는 것도 거의 끊었다. 나도 청첩장을 내지 않을 방침이다. 이제는 이름 석자 뒤에 따라다니는 유명세도 내려놓고 싶다. 그 많은 욕심들, 그것들과의 싸움은 아직도 턱없이 부족하다.

사람들이 적정수준을 넘는 그 많은 욕망과 욕심들을 내려놓고 무욕(無慾)의 상태가 되면 그 빈자리에는 무엇이 채워질까. 사랑과 자비 아닐까. 욕심 없는 사람들이 많아지면 욕심 없는 사회가 되고 그만큼 사랑과 자비가 충만한 세상이 되지 않을까. 그런 세상을 만들기 위해 국가적으로도 심리적 무장조치를 만들어 나가야 하지 않을까.

변호사
2010-11-24 3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