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사람이니까/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의 뾰족한 읽기] 사람이니까/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입력 2022-12-11 20:28
업데이트 2022-12-12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오길영 충남대 교수·문학평론가
물신(物神)주의라는 말이 있다. 자본주의에서의 상품과 돈(자본)처럼 눈에 보이는 대상이 신처럼 다른 모든 것을 압도하는 걸 뜻한다. 영화와 문학 작품에서 벌어지는 살인과 범죄의 뿌리를 따지고 보면 결국 돈을 얻고 지키기 위해 발버둥 친 결과다. 돈 때문에 살고 돈 때문에 죽는다. 돈만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지금도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전쟁과 폭력은 그럴싸한 말의 포장을 제쳐 두고 보면 결국 더 많은 돈, 그리고 더 많은 권력을 얻기 위한 결과다.

영화 ‘올빼미’는 권력을 향한, 혹은 권력을 지키기 위한 욕망이 가져오는 끔찍한 결과는 무엇인가를 묻는다. 세상을 좌지우지하는 권세가 불러일으키는 소용돌이 속에서 보통 사람들의 사소해 보이는 일상, 애정, 우애와 신뢰는 힘을 잃는다. 진실, 올바름, 윤리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는 더 많은 돈, 명예, 권세를 얻고 유지하기 위한 살벌한 현실정치 투쟁에서는 공허한 말들로 치부된다. ‘올빼미’가 보여 주는 모습을 지금 세계 곳곳에서 목격하고 있다.

화제작인 정지아의 장편소설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으면서 물신이 지배하는 세상에서 홀대받는 것의 의미를 곱씹게 된다. 자신이 믿었던 이념을 따라 살았던 아버지의 장례식에 찾아온 아버지의 지인들을 빨치산의 딸인 ‘내’가 만나고 얽히게 된 사연을 읽는 것도 흥미진진하지만, 작품의 고갱이는 아버지를 존경하고 점차 이해하게 되면서도 아버지의 선택에 따라 치러야 했던 ‘나’와 가족의 혹독한 대가를 한국 소설에서는 드물게 위트, 해학, 풍자로 드러내는 ‘나’의 내면이다. “선택할 수 있다면 누군들 빨갱이의 딸을 선택하겠는가. 선택할 수만 있었다면 나는 당연히 이부진이나 김태희의 삶을 선택했을 것이다.” 아버지는 자신의 선택이 가져올 파장까지 알지는 못했다. 사람살이에서 또렷하게 흑백을 구분해서 못박기 힘든 이유다. 굳이 따지면 삶의 색깔은 회색에 가깝다.

빨치산의 딸인 ‘나’는 아버지의 삶에서 물신의 위세로도 제거할 수 없는 사람살이의 덕목을 배운다. 독자도 ‘아버지의 해방일지’를 읽으며 이념과 사상이란 도대체 무엇인지, 사람 사이에 작동하는 ‘인심’은 어때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된다. “긍게 사램이제. 사람이 어떻게 그럴 수 있냐고 내가 목소리를 높일 때마다 아버지는 말했다. 긍게 사램이제. 사람이니 실수를 하고 사람이니 배신을 하고 사람이니 살인도 하고 사람이니 용서도 한다는 것이다. 나는 아버지와 달리 실수투성이인 인간이 싫었다. 그래서 어지간하면 관계를 맺지 않았다. 사람에게 늘 뒤통수 맞는 아버지를 보고 자란 탓인지도 몰랐다.” 소설에서 ‘나’도 차차 인정하게 되지만, 우리는 모두 “실수투성이인 인간”으로서 관계를 맺는다. 그 사실을 인정할 때 세상은 사람이 함께 살기에 조금이라도 나은 곳이 될 것이다.

2022-12-12 25면

많이 본 뉴스

‘금융투자소득세’ 당신의 생각은?
금융투자소득세는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의 투자로 5000만원 이상의 이익을 실현했을 때 초과분에 한해 20%의 금투세와 2%의 지방소득세를, 3억원 이상은 초과분의 25% 금투세와 2.5%의 지방소득세를 내는 것이 골자입니다. 내년 시행을 앞두고 제도 도입과 유예, 폐지를 주장하는 목소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제도를 시행해야 한다
일정 기간 유예해야 한다
제도를 폐지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